"年600만명 일자리 어쩌나"… 원전 6기 백지화 '후폭풍'

머니투데이 세종=유영호 기자, 세종=정혜윤 기자 2017.07.26 06:53
글자크기

신한울 3·4호기만 6년간 3600만명 일자리 증발… 한수원 정원 5% 건설인력 업무공백 골머리

정부가 신한울원자력발전소 3·4호기 등 신규 원전 6기의 건설을 백지화하면서 ‘일자리 후폭풍’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진다. 원전은 약 6~7년의 건설기간동안 연간 600만명의 인력이 동원되는데 탈원전 정책으로 이 일자리가 고스란히 사라지는 셈이기 때문이다.

25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울진 신한울 3·4호기, 영덕 천지 1·2호기, 영덕 또는 삼척에 지어질 원전 2기(천지 3·4호기 또는 대진 1·2호기)를 포함해 건설 예정이던 6기가 올해 말 발표할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제외된다.



신한울 3·4호기가 종합설계용역비 등 2703억원, 천지 1·2호기가 부지매입비 등 699억이 투입됐는데 최소 3402억원이 매몰비용(의사결정 변경으로 다시 회수할 수 없는 비용)으로 사라지게 된다.

더 큰 문제는 일자리다. 원전 걸설의 경우 부문별로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지는데 원자로 등 주설비공사의 경우 호기당 하루 동원인력만 3000명에 달한다. 배수공사, 주변 부지공사 동력인력을 다 더하면 호기당 연간 300만명의 인력이 동원된다 원전은 일반적으로 2기를 한꺼번에 짓기 때문에 인력동원 규모는 연간 600만명으로 커진다. 실제 2015년 11월 준공한 신월성 1·2호기 건설사업에는 총사업비 5조3100억원 투입돼 연간 610만명의 고용창출 효과를 냈다.



원전의 고용유발효과는 국내 최고층 건물인 제2롯데월드(연인원 250만명), 최장 교량인 인천대교(연인원 200만명)의 2.4배, 3배에 달한다. 일자리와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미치는 영향이 그만큼 크다는 의미다. 원전 건설 백지화로 사라지는 고용규모는 신한울 3·4호기만 올해부터 6년간 연간 600만명, 총 3600만명에 달한다.

이뿐 아니다. 국내 원전 건설 취소로, 원전 수출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 브라카원전 수출은 건설 이외에 추가로 운영사업을 따내며 평균연봉 3억원의 일자리 약 3000개를 창출했다. 앞으로는 이 같은 기회가 사라질 가능성이 크다.

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의 건설인력도 문제다. 한수원은 총 1만1500명의 직원 중 5%(575명)가 건설 관련 인력이다. 공론화에 건설여부가 달린 신고리 5·6호기 이후 신규 원전 건설이 모두 백지화되면서 이 인력들은 업무를 잃게 됐다. 내부적으로는 벌써 재교육을 통환 업무 재배치 얘기도 흘러나오고 있다.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이번에 백지화된 원전 6기는 아직 실시계획 승인이 나지 않았던 부분이라서 일자리 증발을 건설 중인 원전과 비교해 추산하는 것은 차이가 있다”면서도 “지역경제 악영향 등 일부 우려에 대해서는 보다 면밀히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