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톨이'된 BBQ, 공정위 칼날·여론 압박에 백기(종합)

머니투데이 김소연 기자 2017.06.16 18:03
글자크기

치킨업계 '각자도생' 방침에 공정위 사정칼날까지 부담 더해져…2번째 가격인상 계획 철회

서울 종로구의 BBQ 매장 앞을 시민들이 오가고 있다. BBQ치킨은 치킨 가격 인상 계획을 밝혔다가 철회한 지 한 달만에 다시 치킨값을 올리기로 했다. BBQ는 지난 3월 세무조사 언급 등 정부의 강도 높은 압력에 의해 가격 인상을 중단했었다. 사진=뉴스1 서울 종로구의 BBQ 매장 앞을 시민들이 오가고 있다. BBQ치킨은 치킨 가격 인상 계획을 밝혔다가 철회한 지 한 달만에 다시 치킨값을 올리기로 했다. BBQ는 지난 3월 세무조사 언급 등 정부의 강도 높은 압력에 의해 가격 인상을 중단했었다. 사진=뉴스1


치킨 값 2만원 시대에 대한 저항이 거세다. 치킨업계 대표 주자인 BBQ가 가격을 인상한 후 도미노 확산이 예상됐지만 소비자들의 거센 반발과 공정거래위원회의 사정 칼날 앞에 무릎을 꿇었다. BBQ는 공정위가 BBQ의 가격 인상에 제동을 걸고 나서자마자 올렸던 제품 가격을 이전으로 되돌리겠다고 밝혔다. 타 업체들이 가격 인상 대열에 동참하지 않고 각자도생을 선택한 것도 BBQ에 심적부담으로 작용했다.
관련기사☞ 김상조의 공정위, 치킨값 부당 인상 정조준

BBQ는 16일 긴급회의를 열고 최근 값을 올린 약 30개 품목의 제품가격을 인상 이전으로 되돌리기로 했다. 공정위가 BBQ 가격 인상 과정을 면밀히 들여다보겠다고 밝힌 데 따른 것이다. BBQ는 지난달과 이달 5일 두 차례에 걸쳐 치킨 가격을 최대 2000원 올리며 업계 도미노 인상을 유발했다.



그러나 업체들은 각자 다른 길을 선택했다. 지난 14일 또봉이통닭, 전날 호식이두마리치킨에 이어 이날 업계 2위인 bhc까지 가격 인하를 선택하면서 BBQ는 사면초가에 몰렸다.

bhc는 이날 오전 AI(조류 인플루엔자) 발생으로 어려움을 겪는 양계농가와 소비감소로 인해 피해를 겪는 가맹점을 고려해 한 달간 가격 인하를 결정했다. 인하 품목은 대표 제품인 '뿌링클'과 '후라이드', '간장골드'로, 인하 폭은 1000~1500원이다.



bhc 측은 가격 인하에 따른 마진 감소분을 전부 본사가 부담한다는 방침이다. 또 AI 피해가 장기간 확산할 경우 할인 기간을 연장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치킨업계 빅3 업체가 가격 인하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bhc는 지난해 BBQ를 제치고 교촌치킨에 이어 매출 기준 업계 2위를 기록했다.

bhc가 깜짝 가격 인하를 발표한 직후, 업계 1위인 교촌치킨도 서둘러 가격 인상 계획을 철회했다. 당초 교촌치킨은 인건비, 임대료 등 가맹점 운영비용 상승을 이유로 이달 말 모든 치킨 제품 가격을 평균 6~7% 인상할 방침이었다.


대신 가맹점주의 어려움을 고려, 광고비용을 절감하는 자구 노력을 실행하기로 했다. 일단 올해 하반기 계획된 광고비용의 30%를 줄이고, 내년에는 점진적으로 기존 광고비를 최대 50%까지 절감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비용을 줄이는 대신, 마케팅 효율성을 극대화해 가맹점 매출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가맹점 부대비용들을 분석해 본사가 지원할 수 있는 부분을 찾고 가맹점 상생정책을 적극 확대한다는 계획도 내놨다.

과거 대표 업체가 선제적으로 가격을 인상하면 후발주자들이 줄줄이 따라갔던 가격 인상 패턴이 달라진 것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치킨업계 대부격인 BBQ가 가격을 인상한 이후 타 업체들도 도미노 인상에 나설 것으로 예상해왔다.

그러나 BBQ가 가격을 두 차례에 나눠 최대 2000원 인상하고, 이 과정에서 한 마리당 500원씩의 광고비를 가맹점주들이 부담하도록 한 것이 알려지면서 후폭풍이 거셌다.

BBQ 측은 인건비와 임대료 부담이 지속 증가하고 배달앱 수수료 등 새로운 비용도 추가돼 가맹점주 부담이 커졌다고 해명했지만, 사실상 가격 인상 원인이 업계 내 마케팅 경쟁과 본사 배불리기에 있다는 비난이 쏟아졌다. 공정위가 BBQ 지역본부를 상대로 현장 조사를 벌인 것도 부담요소다.

이에 소비자 신뢰회복과, BBQ 사태로 인한 반사이익을 보려는 업체들 간 셈법이 갈리면서 대응방식이 달라졌다. 실제 치킨업체 중 가장 먼저 가격 인하 계획을 밝힌 또봉이통닭은 소비자들에게 '착한 치킨'이라는 별명을 얻으며 브랜드 인지도를 높였다. 2013년 BBQ에서 분리돼 독자경영을 시작한 bhc 역시 이번 가격 인하를 계기로 제대로 이미지 차별화를 꾀했다는 분석이다.

가격 인상을 주도하려다 오히려 외톨이가 된 BBQ는 결국 가격 인상을 철회했다. BBQ 관계자는 "국민 간식인 치킨 가격 상승으로 고객과 국민에게 불편을 끼친 데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