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동전없는 사회', 하루 평균 3만7000건 이용

머니투데이 권혜민 기자 2017.06.15 06:00
글자크기
'동전없는 사회' 시범사업 실시 카드뉴스/자료=한국은행'동전없는 사회' 시범사업 실시 카드뉴스/자료=한국은행


한국은행이 지난 4월 '동전없는 사회' 시범사업으로 개시한 잔돈적립 서비스의 하루 평균 이용 건수가 약 3만7000건으로 집계됐다. 한은은 사업 초기 지적된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대응방안을 마련했다.

15일 한은은 이 같은 내용의 '동전없는 사회' 시범사업 추진현황을 발표했다. 지난 4월20일부터 현금거래 후 생긴 거스름돈을 선불전자지급수단에 적립해주는 서비스를 CU, 세븐일레븐, 이마트, 롯데마트 등 전국 2만3000여개 매장에서 시작한 이후 처음으로 내놓은 중간 점검 결과다.



한은에 따르면 6월1일~10일 일평균 잔돈 적립 건수는 3만6617건으로 나타났다. 금액 기준으로는 하루 평균 656만8000원이 적립됐다.

이는 사업이 시행된 4월에 비해 이용 건수와 적립 금액 모두 늘어난 것이다. 4월20일~30일 잔돈 적립 건수와 금액은 각각 3만2862건, 643만4000원이었다. 5월 중(5월1일~31일) 적립 건수는 3만5040건, 금액은 634만원으로 적립액이 4월대비 소폭 줄었으나 이달 들어 다시 늘었다.



한은은 △시범사업 초기 교육 및 홍보 부족 △매장 간 적립수단이 상이한 데 따른 불편 △2020년까지 동전이 사라질 것이라는 루머 등을 사업 초기 나타난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이에 따라 대응 방안도 마련했다. 먼저 교육 및 홍보 강화를 위해 카드뉴스를 제작해 한은 공식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게재하기로 했다.

시범사업자별 동전적립서비스를 활성화하는 조치도 시행된다. CU 편의점의 경우 5월 직원용 POS 화면보호기에 안내화면을 추가했고 6월부터 전 점포에 고객용 홍보물을 배포중이다. 롯데그룹은 사전 등록 고객에게 자동으로 동전을 적립해주는 서비스를 롯데슈퍼에 도입했고 향후 백화점과 마트 등으로 서비스를 확대하는 방안을 고려중이다.


아울러 7~8월중 동전적립서비스를 제공할 자율사업자를 추가 모집하고, 장기적으로 계좌입금방식의 동전적립 모델을 도입해 매장 간 적립수단이 달라 발생하는 불편을 해결할 계획이다. 계좌입금방식은 은행, 금융결제원, 오프라인 매장 간 수수료 배분 문제가 있어 현재는 실행이 어려운 상황이다.

또 한은은 '동전 없는 사회' 사업추진으로 2020년까지 동전이 사라질 것이라는 루머에 대해서는 시범사업이 동전을 완전히 없애는 게 아니라 동전 사용을 줄여보려는 시도라는 점을 적극 알리기로 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