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신의 China Story]급증하는 해외직구

머니투데이 정유신 서강대 경영학부 교수 겸 코차이경제금융연구소장 교수 2017.06.06 04:14
글자크기
[정유신의 China Story]급증하는 해외직구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은 지난 5년간 평균 35% 고성장했다. 규모도 7.3억명이란 엄청난 인터넷 인구를 바탕으로 이미 압도적인 세계 1위다. 2016년 기준 중국 전자상거래 규모는 전년 대비 40% 성장한 9276억달러(약 1020조원)로 미국의 3983억달러(약 438조원)의 2.3배, 일본 774억달러(약 85조원)에는 12배에 달한다.

이런 중국 전자상거래에 최근 들어 뚜렷한 변화가 나타나 주목된다. 월경(越境) 전자상거래, 즉 해외로부터 수입하는 직구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우선 해외직구 고객이 급증했다. 2016년 중국의 해외직구 고객은 4100만명으로 전년 대비 78.3%의 빠른 증가세. 게다가 해외직구를 고려하겠다는 잠재고객도 2억1000만명으로 전년 대비 83.7%나 급증했다고 한다. 물론 이에 따라 해외직구 시장규모도 빠른 확장세다. 2015년 1184억위안(약 21조3000억원)으로 1000억위안을 돌파한 데 이어 2016년엔 2198억위안(약 39조5000억원)으로 2000억위안을 뛰어넘었다. 2016년 세계 전체의 해외직구 시장규모는 4000억달러(약 440조원). 따라서 중국의 해외직구는 세계 해외직구의 약 9%로 세계 1위, 미국의 2배, 일본의 9배에 달한다.



그렇다면 왜 이렇게 중국의 해외직구가 급증했을까. 전문가들은 중국의 소득증가로 고가, 고품질의 수입제품에 대한 소비자 니즈가 커진 데다 인터넷 인구의 대부분(92.5%)이 모바일 스마트폰 사용자라는 점을 첫 번째 이유로 꼽는다. PC와 달리 스마트폰은 언제 어디서든 사이트에 들어가 전 세계 제품을 검색,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가격과 품질만 좋다면’ 해외직구 제품 매수를 주저하지 않겠다는 고객이 늘고 있다고 한다.

둘째, 일반 무역에 비해 해외직구를 이용할 경우 세제상의 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해외직구를 통한 수입은 국제배송을 통하는 ‘직송모델’과 보세지구에 보관한 후 배송하는 ‘보세지구모델’로 구분되는데, 어느 경우든 일반무역보다 유리하다. 왜냐하면 해외직구는 개인수입으로 간주돼 기업이 수입하는 일반무역에서 부과받는 관세, 증치세, 소비세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셋째, 대형 전자상거래 업체들이 해외직구 전용 사이트를 개설, 경쟁적으로 정비해나간 것도 요인이다. 예컨대 알리바바의 티몰글로벌, 징둥의 월드와이드 등이 대표사례들이다. 중국 소비자들이 이들 사이트를 통해 해외제품을 직접 구입할 수 있고 판매가격도 해외가격에 운송비 정도만 얹은 가격이라고 하니 상당히 매력적인 셈이다. 넷째, 물론 해외제품들은 워낙 많고 경쟁적이어서 그만큼 선택지가 넓고 가성비가 좋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다.

해외직구를 내용별로 좀 더 살펴보자. 우선 국가로는 어디가 많은가. 미국이 692억위안(약 12조5000억원)으로 1위, 일본은 631억위안(약 11조4000억원)으로 2위다. 우리나라도 중국의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 티몰에서 해외직구 비중으로 보면 13.6%로 일본 19.3%, 미국 18.3%에 이어 3위에 랭크돼 있다.

어떤 제품이 많은가. 중국 인터넷정보센터에 따르면 2016년 중국의 해외직구 품목 중 가장 인기 있는 것은 화장품, 미용제품에 이어 분유, 유아제품이 2위, 양복이 3위, 건강식품이 4위였다고 한다.


해외직구를 많이 이용하는 사람들의 특성은 어떤가. 첫째, 가장 많이 이용한 연령층은 교육수준이 높고 고소득층이라 할 수 있는 30~40대, 즉, 바링허우(80년대 출생자)로 전체 해외직구의 57.5%를 차지했다. 주링허우(90년대 출생자)는 25%로 2위였다. 둘째, 해외직구 1인당 연평균 구입액은 5630위안(약 101만원), 구입횟수는 8.6회. 한 번 사면 꽤 자주 반복적으로 산단 얘기다. 지역적으론 동부 연안도시의 비중이 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하이가 1위, 광둥성, 저장성이 뒤를 잇고 있다고 한다. 아무튼 사드 갈등에도 불구하고 해외직구는 비교적 순풍인 점을 고려해서 보다 적극적인 정책방안 마련이 필요하단 생각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