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기업 70% "4차 산업혁명 준비 못해"

머니투데이 권혜민 기자 2017.05.16 11:00
글자크기

현대硏 설문조사, 대응 수준 미흡 이유는 '과도한 규제 및 인프라 부족', '전문인력 및 인재 부족' 꼽아

서울 성동구 성수IT종합센터 내 로봇기반 IoT기업 뉴로메카에서 한 직원이 사람과 함께 일할 수 있는 산업용 로봇을 조작하고 있다./사진=뉴스1서울 성동구 성수IT종합센터 내 로봇기반 IoT기업 뉴로메카에서 한 직원이 사람과 함께 일할 수 있는 산업용 로봇을 조작하고 있다./사진=뉴스1


우리 기업의 70%가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준비를 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잘 알고 있다'는 답변도 8%에 그쳤다. 기업들은 대응 수준이 미흡한 이유로 '과도한 규제 및 인프라 부족', '전문인력 및 인재 부족' 등을 호소해 관련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6일 발표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기업 인식과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의 설문조사 결과를 내놓았다. 조사는 지난달 17~25일 우리나라 상장기업 및 중소기업 중 400개 업체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4차 산업혁명은 경제·산업 분야에 큰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각국은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관련 전략을 모색 중이다. 미국의 '첨단제조파트너십(AMP)', 독일의 'Industry 4.0', 중국의 '제조업 2025', 일본의 '일본산업부흥전략' 등이 대표적이다.

우리 새 정부도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대통령 직속의 '4차 산업혁명 위원회'를 설치하고 노동시장 변화를 대비하기 위해 '노동존중 사회 기본 계획' 수립 공약을 발표하는 등 관련 제도 마련에 적극적으로 나설 방침이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우리나라 기업들의 대비 수준은 크게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냐'는 질문에 응답 기업의 52.9%가 '준비를 못하고 있다', 18.3%가 '전혀 준비를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71.2%가 대응하고 있지 못한 것이다.

반면 '철저히 준비하고 있다'는 2.2%, '준비하고 있다'는 26.7%로 28.9%만이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 수준도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잘 알고 있다'는 답변이 8%, '어느 정도 알고 있다'는 응답도 35.3%에 그쳤다. '들어봤다'는 답변은 47%, '전혀 모른다'는 응답도 9.7%이나 됐다.


기업들은 우리 기업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대응 수준이 매우 미흡하다고 스스로 평가하고 있었다. 글로벌 기업의 4차 산업혁명 대응 수준을 10점으로 했을 때 우리 나라 기업들의 대응 수준을 7.1점으로 평가했다.

대응 수준이 미흡한 이유로는 22.3%가 '과도한 규제 및 인프라 부족'을 꼽아 가장 비중이 컸다. 이어 △전문인력 및 인재 부족(18.6%) △4차 산업혁명 이해부족(18.4%) △시대에 뒤떨어진 교육시스템(13.8%)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투자 자금 부족'이라는 답변이 11.2%로 대기업(2.2%)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대기업은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이해부족'이라는 응답이 23.9%로 17.2%였던 중소기업과 차이가 컸다.
/자료=현대경제연구원/자료=현대경제연구원
기업들은 준비 정도는 미흡하지만 4차 산업혁명이 산업과 경영 전반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주의를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 기업의 80.8%가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76.6%는 '경영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었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해 기대하는 점은 '미래 성장 동력 창출'이 51.6%로 가장 비중이 컸다. 반면 13.6%는 '노동시장 붕괴'가 우려된다고 응답했다.

한편 기업들은 정부의 대응 수준도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진국의 대응 수준을 10점으로 했을 때 우리 정부의 대응 수준을 6.3점으로 평가했다.

정부에 바라는 4차 산업혁명 관련 정책은 '기업 투자 관련 세제 혜택'이라는 답변이 19.2%로 가장 많았다. '인적 자본투자'(17.9%), '산업규제 혁신 및 법률 정비'(17%)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산업별로 응답 순위에는 차이가 있었다. 제조업은 '투자 관련 세제 혜택'(20.9%), 서비스업 분야는 '산업 규제 혁신 및 법률 정비'(20.4%)를 가장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를 작성한 정민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과 오준범 선임연구원은 "4차 산업혁명을 위한 생태계 구축을 위해 과감한 선제적 규제 개혁과 제도 도입으로 한국 경제 시스템의 유연성을 강화해야 한다"며 "창의적, 혁신적인 인재를 육성하고 기업도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를 인식하고 중장기적인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