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기업' 사회적경제기업 500개 추가 육성, 신규일자리 2000개 창출

머니투데이 김경환 기자 2017.03.09 11:15
글자크기

서울시, 사람의 가치를 우위에 둔 '사회적경제기업' 집중 육성

사회적경제를 뜻하는 이니셜 SE(Social Economy)와 서울시(SEOUL)가 결합한 모습을 형상화한 상징물사회적경제를 뜻하는 이니셜 SE(Social Economy)와 서울시(SEOUL)가 결합한 모습을 형상화한 상징물


#. 자본주의 시장경제가 발전하면서 나타난 불평등과 빈부격차, 환경파괴 등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으로 등장한 개념인 사회적 경제. 이윤 극대화가 최고인 시장경제와 달리 사람의 가치를 우위에 두고 경제활동을 하는 사회적경제기업이 관심을 받고 있다. 지난 2011년 718개에 불과했던 서울시의 사회적경제기업은 2016년 말에는 3501개로 5배 증가했다. 이들 사회적기업은 전체 근로자 중 41%를 취약 계층으로 고용하고 있다. 이들이 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창출하는 일자리와 사회서비스를 현금화하면 재정투입 대비 약 13배에 달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서울시가 올해 500개의 사회적경제 기업을 추가 육성해 총 4000개까지 늘려, 신규 일자리 2000개를 창출할 것이라고 9일 밝혔다.



시는 이를 위해 올해 총 579억 원(일반예산 319억+기금 융자금 160억+민간기금조성 100억)을 투입하는 등 '2017년 사회적경제 기업 5대 중점 지원계획'을 가동할 계획이다.

5대 지원계획은 △‘착한경제’ 일구는 사회적경제 기업 확대 육성(3500개→4000개) △제품 판로 확장을 위한 서울시 사회적경제 공공구매액 확대(856억 원→1000억 원) △사회투자기금 민간재원 추가 조성(100억 원)과 시민참여 펀딩 도입 △사회적경제 지역 인프라 확대 △사회적경제 분야 국제 네트워크 강화다.



우선 기업 특성 및 이행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통해 사회적기업의 성장역량을 강화하고 500개 사회적경제 기업을 추가 육성해 신규 일자리 2000개를 창출할 계획이다. 기존 기업 가운데 재무건전성, 사회공헌 등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은 40개 기업을 우수기업으로 선정해 3년간 컨설팅, 경영진단, 투자유치교육, 우수기업 공동광고 홍보, 전시회 참가지원 등 맞춤형 지원한다.

또 주거, 환경, 보육 등 다양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적인 사업모델을 제시하는 사회적기업(혁신형 사업모델)을 선정, 총 9억 원 규모로 지원한다.

시는 사회적경제 기업들의 판로와 시장 확대에도 나선다. 서울시, 자치구, 투자출연기관이 사회적경제 기업의 물품이나 서비스를 의무적으로 구매하는 '공공구매액' 규모를 2016년 856억원에서 1000억 원으로 확대한다.


자치구와 투자출연기관을 직접 방문해 공공과 사회적기업을 연결해주는 '찾아가는 공공구매지원단' 활동을 강화하고, 행사·청소·돌봄 같이 매출 효과가 큰 서비스 용역을 집중 마케팅한다. 한살림 등 15개 소비자 생협 소비자 생협 매장에 제품을 납품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전년 대비 2배 이상 확대된 규모다.

지난 2012년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사회적가치 투자 활성화를 위해 사회투자기금(500억 원)을 조성한 가운데, 올해는 운영 방식을 민간 위탁에서 직영으로 개편하고 민간기금 100억원을 추가 조성해 총 기금 규모를 800억원까지 확대한다.

일반시민들이 참여해 자금을 모으는 크라우드펀딩도 새롭게 도입, 사회적경제 기업 투자에 관심 있는 일반시민과 새로운 자금 조달 방안을 모색 중인 사회적 기업을 연결해줄 예정이다.

서울시가 선도적으로 구축해온 사회적경제 지원 인프라는 지속적으로 확대한다. 자치구별 사회적경제 통합지원센터도 지난해 15개에서 올해 20개로 늘리고, 사회적경제 활성화공간도 11개에서 13개로 확대한다. 사회적 경제특구도 10개로 늘린다. 또 전 세계 청년 혁신가, 사회적경제 분야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다양한 국제행사를 개최해 국제적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사회적경제 선도도시로서 이니셔티브를 강화한다.

유연식 서울시 일자리노동정책관은 “지난 2012년부터 서울시가 본격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사회적경제기업들이 초기 기반조성 단계를 지나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면서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사회적경제 기업의 성장과 다양화에 맞춰 정책을 보완하고 강화해 일자리 창출은 물론 사회공헌,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