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주 잘 만나야 산다" 불황에 뛰는 상가 임대료, 상생은 빈말?

머니투데이 신희은 기자 2016.12.16 05:01
글자크기

[불황에도 임대료는 폭등, 상권 양극화의 그늘-②]임대료 급등 위험신호…"상생협약 실효성 의문"

편집자주 경기침체에도 상가 임대료가 단기 급등하면서 영세 자영업자들이 고통받고 있다. 저성장, 저물가가 장기화하고 올 들어 청탁금지법 시행,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 따른 불확실성 고조로 소비심리가 얼어붙은 것과는 별개로 상가 임대료는 고공행진 중이다. 치솟는 임대료와 상권 양극화 실태를 짚어보고 임대인·임차인 간 상생협약 등 대안의 실효성과 해결책을 모색해본다.

"건물주 잘 만나야 산다" 불황에 뛰는 상가 임대료, 상생은 빈말?


"건물주를 잘 만나는 것 외엔 방법이 없어요. 임대료 올릴 수 있는 상한을 두든가 해야지, 조물주 위에 건물주라는 말이 괜히 있겠어요."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경리단길에서 33㎡ 남짓한 카페를 운영 중인 A씨는 요즘 권리금을 받고 가게를 정리할지 고민에 빠졌다. 보증금 5000만원에 매월 250만원을 월세로 내고 있는데 재계약을 앞두고 추가로 월세를 올려줘야 하는 탓이다.



주말이면 손님이 많아 장사는 잘 되지만 가게 규모에 한계가 있고, 평일엔 생각보다 조용한 편이라 월세에 고정지출을 제하면 순익은 갈수록 줄어드는 실정이다.

A씨는 "오가는 사람이 많고 '핫한 동네'지만 상가 수요가 많다 보니 월세는 그만큼 빨리 오른다"며 "수익을 어느 정도 맞추려면 메뉴 가격을 올리고 사람을 최대한 적게 쓰는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경기불황과 매출부진에도 서울 시내 상가 임대료가 최근 1년새 큰 폭으로 치솟으면서 영세 자영업자들이 고통받고 있다.

유동인구가 뜸한 곳은 뜸한 곳대로 매출이 줄어 임대료를 내고 나면 남는 게 없고, 뜨는 동네는 급등하는 임대료를 버텨내기 위해 메뉴 가격을 높이고 인건비를 최소화하지 않으면 안되는 형국이다.

결국 상권 활성화 여부와 상관없이 돈을 버는 것은 임차 상인이 아니라 건물주 뿐이라는 자조 섞인 이야기가 나온다.


서울시와 자치구가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임대인과 임차인 간 상생협약을 통해 임대료를 일정 기간 동결하거나 물가인상률 수준만큼만 올리게끔 유도하고 있지만 강제력이 없어 실효성이 낮다는 지적이다.

15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20~30대 젊은층과 외국인이 많이 찾는 이태원동은 3.3㎡당 상가 임대료가 올 1분기 15만5100원에서 3분기 16만700원으로 6개월만에 3.6% 상승했다. 3분기 이태원동 임대료는 서초동(13만1000원), 역삼동(12만7000원)보다 높고 가로수길이 있는 신사동(2분기 16만1400원) 수준도 따라잡았다.



이태원 중심 상권에서 시작된 임대료 상승세는 경리단길과 해방촌 일대까지 확산 추세다. 해방촌 중심거리의 임대료는 이미 2~3년새 두 배 가까이 오른 상태다.

최근 상권이 활성화된 해방촌의 경우 시와 용산구, 해방촌오거리 신흥시장 토지소유주, 임차인들이 협약을 맺고 6년간 임대료를 물가상승분 만큼만 올려 사실상 동결키로 했지만 지켜질지는 미지수다.

해방촌의 B부동산 중개업소 관계자는 "동네에 오래 산 주인들이야 그동안 올려받은 게 있으니 당분간 인상 안 해도 되겠지만 비싼 값에 건물을 새로 산 주인들에겐 쉽지 않은 얘기"라며 "뜨는 골목일수록 손바뀜도 잦기 마련"이라고 우려했다.



성동구 성수동, 종로구 익선동 등도 최근 1~2년새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임대료가 큰 폭으로 올라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가속화하고 있다. 성수동은 최근 2년새 월세가 100% 가량 급등했고 익선동도 한옥 월세가 70~80% 이상 뛰었다.

시는 상권 활성화에 따른 임대료 급등 양상이 위험 수위에 도달했다고 보고 정책 마련을 위해 올해 첫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지역 모니터링'을 실시했다. 35개 지역별로 100군데씩 상가 보증금과 임대료, 권리금을 조사, 실태를 파악 중이다.

영세 자영업자들은 경기침체와 매출부진, 금리인상 우려 등과 무관하게 치솟는 임대료에 제동을 걸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