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의존' 심화…성장의 질 나빠졌다

머니투데이 유엄식 기자 2016.10.25 18:21
글자크기

(종합2보)3분기 GDP 증가액 85%가 건설투자…갤노트7 생산중단 등 돌발악재로 제조업 역성장

서울 강남구 일대 아파트 전경. /사진제공=뉴스1서울 강남구 일대 아파트 전경. /사진제공=뉴스1


부동산이 이끈 성장. 수출부진과 내수위축으로 저성장 장기화가 우려되는 가운데 부동산을 중심으로 한 단기 부양책 의존도가 심화되고 있다. 올해 3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액 대부분이 건설투자와 정부 추경 결과물로 나타났다.

◇ 성장기여도 내수 1.3%p, 순수출 –0.6%p=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6년 3/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에 따르면 올해 3분기 GDP는 377조9524억원으로 전기(375조3336억원)대비 0.7% 성장했다.



3분기 성장 기여도는 내수 1.3%포인트, 순수출이 –0.6%포인트로 각각 집계됐다. 내수 중심으로 성장했는데 특히 건설투자(0.6%포인트), 정부소비·지출(0.5%포인트) 비중이 높았다.

3분기 GDP 증가액의 약 85%가 건설투자에서 발생했다. 3분기 건설투자 규모는 59조1331억원으로 2분기보다 2조2225억원 증가했다. 만약 3분기 건설투자 성장이 전혀 없었다면 분기 성장률이 0.1~0.2% 수준으로 추락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3분기 수출액은 207조2539억원, 수입액은 190조7705억원으로 전기대비 각각 0.8%, 2.4% 증가했다. 수출액은 2분기보다 약 1조5000억원 증가했으나 수입액은 이보다 3배 더 많은 4조5000억원 늘어 순수출(수출-수입)의 성장기여도는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민간소비는 의류 등 비내구재와 서비스 소비가 늘어 전기대비 0.5% 증가한 181조7792억원으로 집계됐다. 2분기(1.0%)보다 성장세가 다소 위축됐다.

정부소비는 전기대비 1.4% 증가한 55조5911억원으로 집계됐다. 2분기(0.1%)보다 증가율이 대폭 늘었는데, 이는 11조원대 추가경정예산의 80% 이상이 집행된 효과로 풀이된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 투자가 줄어 전기대비 0.1% 감소한 34조397억원으로 집계됐다.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21조2198억원으로 전기대비 0.4% 증가했다.

3분기 경제활동별 성장률은 △농림어업 –0.9% △제조업 –1.0% △전기가수도사업 6.9% △건설업 4.4% △서비스업 1.0%로 각각 집계됐다.

제조업은 올해 1분기(-0.2%)에 이어 2분기 만에 역성장했다. 성장률만 놓고 보면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분기(-2.5%) 이후 7년6개월만에 가장 부진했다. 정규일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이와 관련해 “삼성전자 갤럭시노트7 단종에 따른 손실액이 모두 반영됐고, 자동차 업계 파업에 따른 생산량 감소도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반면 전기·가스·수도사업 성장률은 1999년 4분기(7.9%) 이후 16년9개월만에 가장 높았다. 올해 여름 이례적인 폭염으로 전력판매량이 급증해서다.

건설업은 신규 건설물량 증가로 2분기(1.0%)보다 높은 성장세를 나타냈고 서비스업도 부동산·임대업 등을 중심으로 성장했다.
/자료=한국은행/자료=한국은행
◇ 저유가 효과 끝…국내총소득 2분기째 감소= 이처럼 경제규모는 확대됐지만 국민들의 실질 구매력 지표인 국내총소득(GDI)은 되레 감소했다. 3분기 GDI는 390조2539억원으로 전기대비 0.3% 감소했다. 전기 -0.2%에 이어 2분기 연속 감소한 것이다.

국내총소득이 2분기 연속 감소한 것은 지난 2010년 4분기(-0.5%)~2011년 1분기(-0.3%) 이후 5년6개월만이다.

이는 국제유가 하락폭이 전년보다 크게 감소한 영향이 컸다. 교역조건 악화에 따른 실질 무역손익은 3분기 12조3016억원으로 전기(15조9603억원)대비 약 3조6000억원 감소했다.

정 국장은 “국내총소득은 실질 무역손익과 교역조건에 큰 영향을 받는데 최근 무역손익이 플러스를 유지하고 있어 구매력이 크게 줄었다고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 한은 “4분기 제로성장해도 연 2.7% 가능”= 한은은 올해 연간 성장률이 당초 전망치인 2.7%를 충분히 달성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 추정결과 4분기 성장률이 –0.1~0.2% 정도면 연간 2.7% 성장률이 가능하다. 만약 0.3%보다 높다면 정부 전망치인 연간 2.8% 성장률도 기대할 수 있다.

LG경제연구원 등 국내 주요 민간연구기관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2.3~2.5% 수준이다. 이는 올해 4분기 경기급락을 반영한 수치다. 연간 성장률이 2.5% 이하가 되려면 4분기 성장률이 –0.6%보다 낮아야 한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4분기는 건설 공급과잉 우려, 저유가 효과 둔화, 청탁금지법 시행에 따른 내수 충격으로 3분기보다 낮은 성장세를 나타낼 것”이라며 “경기상황을 고려하면 마이너스 성장률이 불가능하다고 단정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