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오준 회장, 철강 자발적 구조조정 촉구.."원샷법 계획 없어"

머니투데이 최우영 기자 2016.08.24 16:54
글자크기

(종합)'스틸코리아 2016'서 구조개혁 통한 기업체질 개선 주문

한국철강협회와 대한금속재료학회가 24일 서울 포스코센터 서관 4층 아트홀에서 스틸코리아 2016 행사를 가졌다. (왼쪽부터)주세돈 대한금속재료학회 철강분과위원장, 유병규 산업연구원 원장, 김종수 대한금속재료학회장, 권오준 한국철강협회 회장, 플릭 프라이메탈 부사장, 왕더춘 중국강철공업협회 부비서장, 버터워스 CRU 박사. /사진=한국철강협회한국철강협회와 대한금속재료학회가 24일 서울 포스코센터 서관 4층 아트홀에서 스틸코리아 2016 행사를 가졌다. (왼쪽부터)주세돈 대한금속재료학회 철강분과위원장, 유병규 산업연구원 원장, 김종수 대한금속재료학회장, 권오준 한국철강협회 회장, 플릭 프라이메탈 부사장, 왕더춘 중국강철공업협회 부비서장, 버터워스 CRU 박사. /사진=한국철강협회


권오준 POSCO (375,500원 ▲1,500 +0.40%)(포스코) 회장이 철강업계의 체질 개선을 위해 기업 스스로 강력한 구조조정에 나설 것을 주문했다.

한국철강협회와 대한금속재료학회는 24일 오전 9시30분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권오준 철강협회 회장(포스코 회장) 등 철강 및 수요업계, 학계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전세계 무역전쟁 속 경쟁력 제고 방안을 모색하는 '스틸코리아 2016' 행사를 개최했다.



스틸코리아는 지난해에 이어 두번째로 개최하는 행사다. 급변하는 국내외 산업 환경에서 철강업계가 학계·연구소 등과 함께 한국 철강산업이 직면한 상황을 진단하고,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해 철강산업의 지속 성장 발전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권오준 한국철강협회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철강업계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산과 국내 수요산업 약화로 어려운 시기를 맞고 있어, 위기를 극복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산·학·연·관 모두 힘을 모아 대응력을 강화하고 변화를 이끌어내야 한다"며 "철강업계는 더 좋은 제품을 더 저렴하게 시장에 공급할 수 있도록 신기술과 신제품 개발에 과감한 투자를 해야 하며, 기업 스스로 강력한 구조개혁을 통해 어떤 환경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경영체질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 회장은 "글로벌 철강 무역대전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민관이 합심해 각국의 통상규제 움직임을 주시하고, 현지 철강업계·통상당국과의 대화 채널을 강화해 사전 통상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며 "산업이 지속 성장하는 데 튼튼한 내수가 매우 중요한만큼 불공정 제품의 수입과 유통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고, 자동차·건설 등 관련 수요업계와는 굳건한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노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권 회장은 행사 중간 오찬 이동중 포스코 구조조정에 기업활력제고특별법(원샷법)을 활용할 것이냐는 기자의 질문에는 "현재로써는 원샷법을 포스코 구조조정에 이용할 계획이 없다"며 "우린 벌써 2년 전부터 원샷법과 관계 없이 자체적으로 구조조정을 진행해서 60% 가량 목표를 달성했다"고 말했다.

이어 철강업계의 구조조정 용역을 수행중인 보스턴컨설팅그룹의 컨설팅 결과를 묻자 "결론을 내려야 할 사항들이 아직 확실하게 정리가 덜 된 모양"이라고 말했다..


장세욱 동국제강 부회장은 지난해 선제적으로 구조조정에 들어간 포항2후판 설비 매각과 관련해 "협상 진행중인 업체는 회사 기밀사항이라 말씀드릴 수 없지만 잘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안드레아스 플릭 프라이메탈 부사장이 '철강기술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기조연설한 뒤 광물분석·컨설팅업체인 CRU의 폴 버터워스 박사가 '중국 및 세계 철강시장', 왕더춘 중국강철공업협회 부비서장이 '중국의 철강산업'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 유병규 산업연구원 원장이 좌장을 맡은 가운데 이학노 동국대 교수와 탁승문 포스코경영연구원 전무가 참석한 '글로벌 철강산업의 공정무역과 지속성장 방안' 토론, '철강소재의 산업별 이용기술 현황 및 전망' 발표, '철강과 건축의 미래' 발표가 이어졌다.

이날 행사에는 권오준 한국철강협회 회장을 비롯해 우유철 현대제철 부회장, 장세욱 동국제강 부회장, 이순형 세아제강 회장, 김창수 동부제철 사장, 송재빈 철강협회 상근부회장, 홍영철 고려제강 회장, 손봉락 TCC동양 회장, 이종수 대한금속재료학회 회장, 주세돈 대한금속재료학회 철강분과위원장, 박영동 한국철강자원협회 회장 등이 참석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