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조 넘보는 ETF..자산배분·연금투자로 확대 필요

머니투데이 한은정 기자, 정인지 기자, 최석환 기자 2016.08.22 10:00
글자크기

[국민재테크 ETF]<1>활용전략 다양화 절실

편집자주 상장지수펀드(ETF)가 저성장·저금리 시대 투자대안으로 주목받으면서 올 상반기 순자산 총액이 사상 처음 23조원을 돌파했습니다. 효과적인 연금투자 시스템과 자산관리 서비스 제공을 통해 국민재테크로 자리잡을 경우 30조원 시장도 멀지 않았다는 기대감도 나옵니다. 이에 각 자산운용사별 ETF 재테크 활용방안과 성장전략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속에 올해도 유망 자산을 섣불리 예상할 수 없는 어려운 투자 환경이 이어지고 있다. 이럴 때일수록 각광받는 것이 단돈 1만원으로 전세계에 분산 투자할 수 있는 ETF(상장지수펀드)다. ETF는 주식처럼 투자자가 직접 사고 싶을 때, 팔고 싶을 때 매매할 수 있으면서도 추종 지수에 따라 주식, 채권, 부동산 등 다양한 자산군에 투자할 수 있다. 안정적인 분산투자의 바람을 타고 전세계 ETF 시장은 2조9960억달러로 10년 전 대비 5배가 급증했다. 국내 ETF 시장도 23조원 규모까지 성장했다. 여기에 ETF를 통한 연금 투자 시스템과 자산관리 서비스까지 갖춰진다면 '국민재테크'로 퀀텀점프가 가능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분위기다.

◇ETF 토탈 솔루션 등장..시장 성장의 마중물=글로벌 자본시장에서 ETF는 국가의 중요한 시스템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일본 중앙은행은 양적완화를 위한 수단으로 ETF를 매년 6조엔(약 66조원) 규모로 매입하기로 했고 중국 역시 증시급락을 방어하기 위해 ETF 매입에 적극 나서기도 했다. 특히 글로벌 ETF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미국 ETF 시장은 글로벌 운용자산을 끌어들이는 블랙홀이 되고 있고 이렇게 모인 운용자산으로 매입한 주식과 채권은 미국 증시의 힘이 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미국 ETF의 순자산은 2조1000억 달러(약 2340조원) 규모로 글로벌 ETF 시장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액티브 펀드의 자금 유출은 심화되고 있는 반면 ETF로의 자금유입은 꾸준히 늘고 있다.



미국 ETF 시장도 설립 초기인 1993년부터 2000년까지는 거의 성장하지 못했고 투자자의 관심도 받지 못했다. 하지만 1990년 중반 월가의 증권사들은 한국의 랩과 비슷하게 주식, 채권, 원자재 등 모든 자산에 투자하고 다양한 투자전략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운용할 수 있게 하는 토탈솔루션을 제공하려 했다. 당시 미국에서는 해외투자가 인기를 끌기 시작했고 때마침 IT투자 붐까지 일면서 ETF는 미국 자산운용시장에서 자산배분을 수행하는 도구로 대중화에 성공했다. 특히 지난해에는 미국에서만 17개 운용사가 ETF 시장에 진출하는 등 ETF 시장에 대한 관심은 더 커지고 있다. 골드만 삭스, 존 핸콕 등 전통적인 운용사들은 스마트베타 전략 위주의 상품으로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배재규 삼성자산운용 패시브총괄 전무는 "미국 월가의 증권사들은 자신의 플랫폼 안에서 해외주식을 저렴한 비용으로 자산배분전략을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있었고 ETF에서 답을 찾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ETF를 통해 하나의 증권계좌에서 손쉬운 매매로 17개국에 달하는 해외주식에 자유롭게 분산투자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IT벤처붐으로 낯선 벤처기업보다는 나스닥100지수를 추종하는 ETF의 거래량이 크게 늘었다"고 말했다.
30조 넘보는 ETF..자산배분·연금투자로 확대 필요


◇연금 등 ETF 활용 전략 다양화 필요=국내 ETF 시장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왔지만 속도는 더뎌진 상황이다. 최근 국내 자산운용사들이 지수 움직임 이상의 수익을 추구하는 스마트베타 ETF까지 출시하면서 ETF 상품은 더욱 다양화되고 있지만 ETF를 투자 대상으로 추천하는 금융기관이 많지 않아서다.



펀드나 랩을 판매하면 은행, 증권사 등은 판매 수수료를 받을 수 있지만 ETF는 판매 수수료가 없다. 업계에서는 판매사의 이익과 자유로운 IFA(독립투자자문업자)를 통해 자산관리 활성화를 꾀하려 했지만 제도 도입이 미뤄지고 있는 상황이다.

ETF를 통해 연금 자금을 관리하는 데에도 제약이 있다. 개인연금의 경우 현행법상 ETF 투자가 불가능하다. ETF는 주식처럼 HTS(홈트레이딩서비스) 등에서 거래할 경우 증권사에 0.13% 수준의 위탁매매수수료를 내야 한다. 이 비용은 연금에서 차감되는데, 이때 비용 지불이 연금의 일부 '인출'로 인식되기 때문에 ETF 거래가 불가능한 것이다. 일반 펀드도 투자자금에서 운용 보수를 매년 차감하고 있지만 이는 자본시장법에서 정의하고 있는 투자 제반 수수료로 인정받고 있어 문제가 없다. 금융투자업계는 올 초 ETF의 위탁매매수수료도 인출이 아닌 투자 비용으로 간주하도록 유권해석을 해달라고 정부에 요청한 상태다.

개인연금에서 ETF 투자가 허용되더라도 연금 판매사의 시스템이 갖춰져야 투자가 가능하다. 현재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퇴직연금 등에서도 법적으로는 ETF 투자가 가능하지만 실제 시스템이 갖춰진 금융회사는 미래에셋대우 등 일부에 한정돼 있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판매사들은 ETF를 통한 자산관리가 보편화돼 있지 않은 상황에서 선제적으로 시스템 개발 비용을 투자하기 어렵다고 불만을 토로하지만, 시스템이 미리 마련되지 않으면 투자자들은 애초에 투자를 선택할 수 없고 ETF의 장점도 느끼지 못하게 되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