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2명 중 1명 "사드 찬성"…내 거주지 근처에 배치된다면?

머니투데이 배소진 기자 2016.07.15 11:43
글자크기

[the300]한국갤럽 7월2주차 조사…'사드' 朴대통령 국정수행 평가 긍정·부정 동시영향

/자료=한국갤럽 홈페이지/자료=한국갤럽 홈페이지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한반도 배치가 확정된 가운데 국민 절반이 '찬성'하는 의견을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거주지 근처에 사드가 배치될 경우 수용할 의향이 있다는 입장은 이보다 다소 낮은 46%로 집계됐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갤럽이 전국 성인 남녀 1004명을 12일부터 14까지 조사해 15일 발표한 7월 2주차 주간조사결과에 따르면 사드 배치에 찬성하는 응답자는 50%였다. 반대는 32%, 의견유보는 19%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62%가 찬성한 반면 여성은 38%만이 찬성하는 등 성별에 따라 찬성하는 비율에서 크게 차이가 났다.했다. 반대의 경우 남녀 모두 30% 내외로 비슷했다.

지지정당별로는 새누리당 지지층에서 사드배치 찬성이 74%에 달했다. 국민의당 지지층(찬성 47%-반대 38%)과 무당층(찬성 40%-반대 27%)에서도 찬성이 반대를 앞섰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층과 정의당 지지층은 각각 50%, 58%가 반대했다. 현재 새누리당은 찬성, 국민의당과 정의당은 반대로 당론을 명확히 했고 더불어민주당은 아직 입장을 내놓지 않은 상태다.



사드배치를 찬성하는 사람들은 이유로 △국가안보·국민안전 위한 방어체계 △북한 핵·미사일 위협 대응 △북한 견제·압박 △자력안보 부족·강대국 도움 불가피 △미국과의 관계·한미동맹 강화 등을 들었다.

반대로 사드배치에 반대하는 이들은 △사드 불필요·효과없음 △미국에 끌려다님 △중국 등 주변국 긴장·관계악화 △경제에 악영향 △국익에 도움 안 됨 △국민에게 알리지 않은 일방적 추진 안전문제·전자파 우려 △배치지역 피해 △전쟁우려·전쟁부추김 △등을 지적했다.

현재 사드 배치지역으로 공식발표된 경북 성주 주민들의 반발이 이어지는 가운데 만일 살고있는 지역 근처에 사드를 배치하게 될 경우 수용여부를 물은 결과 응답자의 46%는 수용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39%는 수용의향이 없다고 답했고 15%는 의견을 유보했다.


남성은 62%가 거주지 근처에 사드배치를 수용할 수 있다고 답한 반면 여성은 30%만이 수용할 것이라고 답했다. 수용의향이 없다고 답한 비율도 남성 28%, 여성 50%로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특히 30대 여성 응답자의 61%가 사드배치에 반대, 거주지 근처에 배치될 경우 수용하겠다는 의향은 72%에 달해 이 사안에 가장 부정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자료=한국갤럽 홈페이지/자료=한국갤럽 홈페이지
국민 여론이 찬반으로 나뉘는만큼 사드배치 문제는 대통령 국정수행 평가에도 반영됐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 양쪽에 모두 '사드배치'가 언급됐다.

박근혜 대통령이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 의견은 32%로 지난주에 비해 1%p(포인트) 상승했다. 하지만 잘못 수행하고 있다는 부정평가 역시 지난주보다 2%p오른 54%를 기록했다.

긍정평가자들은 △외교·국제관계 △열심히 한다·노력한다 등을 평가 이유로 꼽았다. 사드배치 문제도 대통령 직무수행을 긍정평가하는 요인으로 추가됐다. 반대로 부정평가자들은 △경제정책 △소통미흡 등을 이유로 들었다. 사드배치는 부정평가 이유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정당지지율의 경우 지난주와 유사한 답보상태를 보이고 있다. 새누리당은 지난주보다 1%p 오른 30%, 더불어민주당은 변동없이 23%를 기록했다. 지난주까지 3주째 14% 지지율을 유지하던 국민의당은 이번주 1%p 하락한 13%로 집계됐다. 정의당도 1%p 하락한 5%를 기록했다.

한편 차기 정치지도자 선호도에서는 반기문 UN사무총장이 27%로 1위를 기록했다. 지난 6월 한국갤럽 조사 후보군에 포함된 후 두 달 연속 선두를 기록하고 있다.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6%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가 6%로 뒤를 이었다. 이밖에 손학규 전 의원(4%) 유승민 새누리당 의원(4%)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3%) 이재명 성남시장(2%) 순으로 응답됐다. 지난 6월 후보군에 포함됐던 오세훈 전 서울시장은 예비조사 과정(상위 8명 선정)에서 제외됐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