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 또 회의' 주말 잊은 정부…브렉시트 대응 총력

머니투데이 세종=정현수 기자, 세종=박경담 기자 2016.06.26 15:15
글자크기

25일 범정부 합동점검회의 열려…26일엔 금융위원장·부총리 주재 회의 열고 대응책 마련

최상목 기획재정부 1차관이 24일 긴급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최상목 기획재정부 1차관이 24일 긴급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제공=기획재정부


정부가 주말에도 브렉시트(Brexit)에 대응하기 위한 비상체제를 유지했다. 부처별로 긴급 회의를 잇따라 소집했고, 관계기관별로 대응계획을 논의했다. 브렉시트 직후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진 만큼 긴장의 끈을 놓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26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오후 6시 긴급 경제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한다. 중국에서 열린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총회에 참석했던 유 부총리는 귀국 직후 바로 회의를 소집해 대응책을 마련한다.



지난 25일 오전10시에는 브렉시트 관련 관계기관 합동 점검회의가 처음으로 열렸다. 합동 점검회의는 관계기관 24시간 모니터링 체제를 확대한 것으로, 브렉시트 국민투표 가결 직후 범정부 합동점검반이 가동됐다.

이찬우 기재부 차관보가 주재한 합동 점검회의에서는 "현재로서는 불확실성이 크고 파장을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인식을 내놨다. 각국의 정책공조로 글로벌 금융시장의 불안이 점차 완화될 것이라는 전망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불확실성이 크다는 인식이다.



특히 합동점검반은 "추가적인 유럽연합(EU) 탈퇴 가능성, 영국의 EU 탈퇴 협상 과정 등 새로운 균형으로 이행하기까지 다양한 변수들이 있어 그에 따른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판단했다. 합동점검반은 시장이 안정될 때까지 매일 회의를 연다.

각 기관별로도 분주한 주말을 보냈다. 금융위원회와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등은 지난 24일 브렉시트 관련 긴급 회의를 소집했고, 주말에도 상황 점검에 나섰다.

금융위원회는 26일 임종룡 금융위원장 주재로 자본시장 비상점검회의를 열었다. 주식시장과 채권시장 동향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다. 한국은행은 같은 날 장병화 부총재 주재로 종합점검회의를 열고 국제금융시장 동향을 점검했다.


현재까지 관계부처별 인식은 대동소이하다. 영국과의 교역 규모가 상대적으로 적은 우리 경제상황을 고려할 때 실물경제의 영향은 제한적이지만, 외환·금융시장의 영향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당분간 부정적 영향은 나타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외환·금융시장의 안정을 위해 "가용한 모든 수단을 사용한다"는 입장을 세웠다. 외환시장의 변동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스무딩 오퍼레이션(미세조정)과 증시의 연기금 동원 등 시장안정화 조치를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이다.

특히 27일 국내 금융시장이 개장한 후 상황을 집중 점검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차관급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수시로 연다. 부정적 영향이 보다 폭넓게 나타날 경우 대응체계를 부총리 주재의 관계부처 장관회의로 격상할 예정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필요한 경우 컨틴전시플랜(비상계획)에 따라 신속하고 단호하게 대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