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대우조선보단 '딜라이브' 인수금융에 '벌벌'

머니투데이 이학렬 기자 2016.05.23 04:17
글자크기

딜라이브 손실 1000억 이상…대우조선 '정상' 유지되면 추가 충당금 700억 정도

시중은행, 대우조선보단 '딜라이브' 인수금융에 '벌벌'


대우조선해양 등 조선업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서 조선업 부실이 시중은행에 옮겨 붙을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당장 2분기 시중은행에는 대우조선보다 딜라이브(옛 씨앤앰) 인수금융이 더 큰 부담이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 KEB하나은행 등 딜라이브 대주단 중 시중은행은 딜라이브 인수금융 만기가 연장되더라도 출자전환 등으로 1000억원 이상의 손실이 불가피하다.



딜라이브 대주단은 인수금융 2조2000억원의 30% 내외를 출자전환하고 나머지 인수금융 금리를 낮춰 만기 연장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하지만 국민연금과 새마을금고 등 일부 대주단이 이같은 채무조정안을 반대하고 있어 만기 연장이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딜라이브 인수금융이 만기 연장에 실패할 경우 시중은행들은 막대한 손실이 불가피하다. 하지만 국민연금과 새마을금고 등 일부 대주단이 채무조정안에 동의해 만기를 연장해도 시중은행들은 손실을 보게 된다. 가지고 있는 대출 중 일부를 주식으로 바꾸면 해당 주식가치가 출자전환하기 전 대출금보다 떨어지기 때문이다. 예컨대 대출금 1000억원을 출자전환했는데 출자전환한 주식가치가 500억원에 불과하다면 500억원의 손실을 봐야 한다.



대신증권은 딜라이브 인수금융에 대해 30%의 출자전환, 출자전환액의 50%를 감액손실한다는 가정해 신한은행, 하나은행 등 은행권의 손실액을 1093억원으로 추정했다. 최정욱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출자전환에 따른 감액손실 등 손실 인식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인수금융 부실로 은행이 영향을 받을 것이란 예상이 커지면서 금융감독원은 인수금융에 관한 전수조사에 나섰다. 은행들이 인수금융 부실 우려에 대해 적정한 충당금을 쌓고 있는지 등을 살펴 은행의 인수금융 관련 리스크를 줄이겠다는 계산이다.

반면 대우조선,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등 조선업 구조조정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대우조선에 대한 2분기 시중은행의 추가 충당금 부담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시중은행들은 현재 대우조선 여신을 '정상'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요주의' 이하로 내리지 않는 한 상장은행의 최대 추가 충당금 부담은 700억원대에 그칠 전망이다.


대신증권에 따르면 상장은행들의 대우조선해양 익스포저는 2조8728억원에 이른다. 하지만 이미 1564억원의 충당금을 적립했고 '정상' 범위에서 최대로 충당금을 쌓아도 추가로 적립해야할 충당금은 715억원에 불과하다. 다만 KDB산업은행, 수출입은행, NH농협은행 등 특수은행들은 대우조선해양 여신규모가 커서 보수적으로 충당금을 적립하면 추가 충당금 부담이 생길 수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시중은행들이 대우조선해양 여신을 '정상'에서 '요주의'를 당장 내릴 가능성은 크지 않다"며 "조선업에 대해 선제적으로 충당금을 쌓았기 때문에 충당금 부담도 크지 않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