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시진핑, '사드 배치' 긴밀한 소통 합의

머니투데이 워싱턴D.C.(미국)=이상배 기자 2016.04.01 12:41
글자크기

[the300] (상보) 워싱턴서 한중 정상회담…사드 배치 속도조절 가능성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뉴스1 (청와대)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뉴스1 (청와대)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한반도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에 대해 긴밀하게 소통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주한미군 차원에서 사드 배치를 추진한다는 우리 정부의 원칙적 입장에는 변함이 없지만 중국의 입장을 고려해 속도조절에 나설 가능성이 제기된다.

핵안보정상회의 참석차 워싱턴D.C.를 방문한 박 대통령과 시 주석은 31일(현지시간) 오후 옴니쇼어햄 호텔에서 1시간20분 간 한중 정상회담을 열고 이 같이 뜻을 모았다. 김규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은 이날 현지에서 브리핑을 통해 "한중 정상은 사드 배치 문제에 관해 양측의 기존 입장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앞으로 한중 간에 이 문제에 대해 소통을 계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날 사드 문제에 대한 논의는 시 주석 측이 먼저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시 주석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의 미중 정상회담에서 "중국은 미국이 한국에 미사일 방어시스템을 배치하는 데 단호히 반대한다"며 "사드 배치가 중국의 국가안보와 동북아 전략적 균형에 해가 될 것"이라고 한반도 사드 배치에 대한 분명한 반대 입장을 밝혔다. 또 시 주석은 "긴장을 격화시킬 수 있는 그 어떤 언행도 피해야 하며 다른 국가의 안전이익과 지역의 전략적 균형에 영향을 주는 조치도 취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고 중국 외교부는 전했다.

한편 시 주석은 이날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대북제재에 동참하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확인했다. 박 대통령이 "북한의 행동을 바꾸기 위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의 충실한 이행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자 시 주석은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안 2270호 채택 과정에서 중국은 기권한 게 아니라 결의안 채택에 적극적으로 나섰다"며 "안보리 결의를 전면적으로, 완전하게 이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박 대통령은 "유엔 안보리 결의에 위반되는 어떠한 추가 도발에도 국제사회의 엄중한 대가가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 두 정상은 북핵문제 진전과 한반도 평화·안정을 위해 앞으로 양국간 전략적 소통을 강화해 나가고, 이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협의 개최 필요성에 대해 검토해 나가기로 했다. 박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 통일이 북핵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방안"이라며 "이는 동북아와 세계평화에 중요한 종착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한중 정상회담은 앞서 열린 미중 정상회담이 길어진 데 따라 당초 예정됐던 오후 4시보다 약 1시간 늦게 시작됐다. 한중 정상회담은 지난해 9월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전승절 기념행사 계기 양자회담 이후 6개월 만으로, 박 대통령 취임 후 7번째다.

이날 회담을 시작하며 박 대통령은 "'무신불립'(믿음 없인 설 수 없다)이라는 문구가 기억이 난다. 양국 간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이끌어 가는 기본정신으로 상호 존중과 신뢰에 있다"며 "최근 북한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도발은 양국 협력이 한반도는 물론 이 지역 평화와 안정 확보에 얼마나 중요한 지를 다시 한 번 일깨워주고 있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박 대통령과 심도 깊게 의견을 교환하고, 중·한 관계를 전면적으로 기획하며 각 분야의 교류 협력을 심화시키고, 양국 관계가 건강하고 순조로운 발전을 추구할 것을 희망한다"고 했다.

박 대통령은 전날 블룸버그통신과의 서면 인터뷰에서 "국제사회가 안보리 결의를 철저히 이행하면서 북한이 다시 도발하면 감내하기 힘든 단호한 대응이 뒤따를 것이라는 분명한 경고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런 측면에서 앞으로도 중국이 건설적 역할을 해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