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분열 위기 속 측근 정리나선 文…安 입장 영향은

머니투데이 구경민 기자 2015.12.10 18:23
글자크기

[the300]문재인, 安 탈당 막고 친노패권주의 청산 의지…한명숙 전 총리 탈당·측근 불출마

 불법정치자금 수수 혐의로 실형을 선고받은 한명숙(71) 전 총리가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심경을 밝힌 뒤 본청을 나서며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와 인사하고 있다.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이상훈 대법관)는 이날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한 의원에게 징역 2년과 추징금 8억8000만원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19대 국회에서 비례대표로 당선된 한 의원은 내년 5월까지인 임기를 10개월 남긴 채 의원직을 상실하고 구속 수감된다. 2015.8.20/뉴스1  불법정치자금 수수 혐의로 실형을 선고받은 한명숙(71) 전 총리가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심경을 밝힌 뒤 본청을 나서며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와 인사하고 있다.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이상훈 대법관)는 이날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한 의원에게 징역 2년과 추징금 8억8000만원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19대 국회에서 비례대표로 당선된 한 의원은 내년 5월까지인 임기를 10개월 남긴 채 의원직을 상실하고 구속 수감된다. 2015.8.20/뉴스1


새정치민주연합의 내홍이 격화되자 문재인 대표가 한명숙 전 국무총리의 탈당과 친노(친노무현) 측근의 총선 불출마를 요구하는 등 갈등 진화에 나섰다. 측근챙기기 의혹을 해소하고 공정성 시비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문 대표는 구속 수감 중인 한 전 국무총리에게 당적을 정리해달라고 지난 8일 요청했다. 이를 한 총리가 수용키로 하면서 곧 자진 탈당계를 제출키로 했다.



이는 안철수 전 공동대표의 당 혁신안을 수용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문 대표는 최근까지도 한 전 총리에 대해 재심을 청구할 계획이었다. 한 전 총리 구하기에 나서겠다는 것이다.

결국 문 대표는 당이 분열될 위기에 처하면서 '측근 챙기기' 지적과 당내 상황 등을 고려해 이같은 결정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부패혐의로 기소돼 유죄판결을 받거나 재판에 계류 중인 당원은 즉시 당원권을 정지한다'는 등의 내용을 담은 안 전 대표의 당 혁신안을 수용키로 한 것이다.



또 문 대표는 최근 출마를 준비하고 있는 측근 단체장들에게 총선 출마를 포기하도록 권고했다. 내년 총선 공천심사에서 문 대표 측근에 대한 공정성 논란이 제기될 수 있는 점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조치다.

이로써 안 전 대표의 탈당 위기를 막고 당내 비주류들이 제기해온 '친노 패권주의'를 청산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셈이됐다.

김성수 대변인은 10일 오후 국회에서 브리핑을 갖고 "문 대표가 한 전 총리에게 측근을 보내 스스로 당적 문제를 정리해줄 것을 요청했다"면서 "문 대표는 한 전 총리의 결백을 믿지만 국민 눈높이에 맞춰 정치적인 거취를 결단해주는 것이 좋겠다는 뜻을 전했다"고 밝혔다.


이어 "한 전 총리는 문 대표와 당에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탈당하고 평범한 시민의 한사람으로 돌아가 결백을 입증하는 외로운 투쟁을 해나가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전했다.

문 대표는 또 최근 출마를 준비해 온 차성수 금천구청장과 민형배 광주 광산구청장, 김영배 성북구청장 등 참여정부 시절 측근들을 만나 불출마할 것을 권했다. 이에 이들은 불출마하는 것으로 거취를 정리했다.

이호철 전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과 양정철 전 홍보기획비서관, 윤건영 대표 특별보좌관 등 3명에 대해서도 총선 불출마 입장을 재확인했다. 문 대표는 이들에게 불필요한 당내 오해가 생기지 않도록 하라고까지 지시했다.

앞서 문 대표는 아들 로스쿨 졸업시험 낙제 구제를 위해 압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받은 신기남 의원과 의원회관에서의 시집 판매 의혹을 받고 있는 노영민 의원에 대해 당무감사원 조사 후 윤리심판원에 회부할 것을 요청했다. 이들 모두 문 대표의 측근으로 분류된다.

문 대표의 이같은 결정이 장고에 들어간 안 전 대표의 입장표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모아진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