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금리에 佛테러도 변수…기술적으로는 반등권

머니투데이 안재용 기자 2015.11.15 12:58
글자크기

[주간증시전망]일본 추가양적완화 가능성·프랑스 파리 테러 영향에 주목

이번주(11월16~20일)에는 미국 금리인상 이슈와 함께 프랑스 파리 테러가 투자심리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단기간의 과도한 낙폭으로 기술적 반등 가능성도 높아졌지만 이번 파리 테러가 9·11 테러 이후 최악의 테러 사건으로 평가받으면서 유럽 경제 위축은 물론 위험자산 투매를 불러올 가능성도 높다.

지난주(11월9~13일) 코스피 지수는 기대치를 상회한 미국 고용지표의 영향으로 미국 기준금리 연내 인상에 대한 우려감이 높아지면서 전 주말 대비 67.78포인트(3.32%) 하락했다.



국제 유가와 원자재 가격이 급락하면서 신흥국 시장에 대한 위기감이 커진데다 모간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신흥국 지수에서 한국 비중이 감소한 것도 외국인 매도를 부축였다. MSCI 신흥국 지수를 추종하는 외국인 자금이 이탈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주 외국인 투자자들은 코스피 시장에서 7182억원을 순매도했다. 10월 이후 주간 단위로는 최대 수치다.
/자료=LIG투자증권/자료=LIG투자증권


◇美 금리인상 충격 지속될까=미국 고용 서프라이즈에 따른 미국 기준금리 연내 인상 우려감은 한국 증시에서 외국인 이탈을 부추겼다.



프랑스 파리 테러까지 발생하면서 미국 기준금리 연내인상, 중국 경기침체 등에 테러 위협이라는 세가지 대외 악재 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유럽지역은 한국 수출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미국과 비슷하지만 중국의 유럽향 수출을 감소시켜 한국의 수출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무엇보다 투자심리 위축이 가장 큰 문제다. 지난 2001년 9·11테러가 발생했을 때에도 세계 증시가 급락세를 나타낸 바 있다.


이번주에도 10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 공개와 함께 미국 연방준비은행 총재들의 발언을 앞두고 있어 12월 금리인상 이슈가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달러 강세가 이어지면 외국인 자금 순유출이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MSCI 신흥국 지수내 한국 비중이 줄어든 것도 부담이다.

고승희 KDB대우증권 연구원은 "미국 연준 주요 인사들의 연설이 이어지고 10월 FOMC 의사록이 공개되면 12월 금리인상 가능성은 더 확대될 것"이라며 "그동안 변동성 확대를 겪었던 채권과 외환시장에 비해 주식시장은 견조한 상승을 이어왔고 펀더멘털 개선이 나타나고 있지 않은 상황이라 한동안 조정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김예은 LIG투자증권 연구원은 "12월 미국 금리인상에 대한 연준의 의지가 재확인 되면 시장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면서도 "11월 중순 이후에는 점차로 미국 금리인상 논의에 따른 시장 충격이 약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과대 낙폭으로 기술적 반등... 日 양적완화·프랑스 파리 테러 영향 촉각=코스피 지수가 일주일만에 3% 넘는 하락폭을 기록하면서 단기 급락에 따른 기술적 반등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60일, 200주 이동평균선이 위치한 1970선에서 급격한 지수하락에 대한 심리적 저항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모멘텀이 부재한 상황이라 본격적인 상승추세로의 전환은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기술적 반등은 가능한 구간이지만 200일 이동평균선(2024포인트)을 회복하기 전까지는 추세적 상승흐름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배당주 비중을 높이는 등 보수적 포트폴리오로 전환하는 기회로 삼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16일 발표될 3분기 일본 국내총생산(GDP)이 역성장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아 일본 추가 양적완화에 대한 우려도 나타나고 있다. 일본이 추가적인 양적완화를 실시하게 되면 엔화 약세가 나타나 한국 수출기업에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김 연구원은 "일본 3분기 GDP가 좋지 못한 결과를 내 놓을 경우 11월 일본은행 금융통화정책회의에서 양적완화 규모 확대 가능성이 부각되며 국내 증시에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며 "다만 유가급락과 소비세율 인상으로 경제지표 왜곡효과가 나타났을 가능성이 있어 11월 금정위에서 구체적인 추가 정책 집행이 나타날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