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득 소환' 새 국면 맞은 포스코 수사, MB 실세 정조준?

머니투데이 양성희 기자 2015.09.07 11:58
글자크기
저축은행에서 수억원대 불법자금을 받은 혐의로 이상득 전 새누리당 의원이 2012년 3월 대검찰청에 모습을 드러냈다.(사진=뉴스1)저축은행에서 수억원대 불법자금을 받은 혐의로 이상득 전 새누리당 의원이 2012년 3월 대검찰청에 모습을 드러냈다.(사진=뉴스1)


이명박 전 대통령의 친형 이상득 전 새누리당 의원(80)이 포스코 비리 수사 대상으로 오르며 종착역으로 달려가던 수사가 정관계 인사들로 다시 확대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7일 검찰 등에 따르면 포스코그룹 수사 초기부터 이명박 정부 실세 인사들의 이름이 거론돼왔다. 이른바 '영포라인'으로 불리는 이 전 의원과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 등이 대표적이다.



박 전 차관과 이명박 전 대통령의 오랜 측근 천신일 세중나모 회장은 정준양 전 포스코그룹 회장의 인선에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받아왔다. 정 전 회장이 재임 중에 성진지오텍을 무리하게 인수하는 과정에 박 전 차관이 관여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여기에 박재천 코스틸 회장, 배성로 전 동양종합건설 회장, 이동조 전 제이엔테크 회장 등 정 전 회장이나 전 정권 인사들과 친분이 깊은 인물들도 의혹의 중심에 섰다.



검찰은 박 회장, 배 전 회장 등을 통해 정 전 회장과 전 정권 인사들을 엮으려 했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법원의 잇따른 영장 기각으로 수사는 사실상 실패로 돌아갔다.

검찰은 정 전 회장을 검찰에 부르기까지 6개월이 걸렸다. 여기에 정동화 전 포스코건설 부회장에 대한 구속영장이 두 차례에 걸쳐 기각되자 전 정권에 대한 수사는 사실상 못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하지만 검찰은 수사 막바지에 이르러서야 전 정권 인사인 이 전 의원과 관련된 진술을 얻어냈다. 검찰은 포스코그룹 관계자들로부터 정 전 회장이 티엠테크에 거액의 일감을 몰아주도록 지시했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포스코 내부 핵심임원들만 알던 은밀한 이야기가 수사 진행 5개월이 넘어가고 구속자가 17명 정도 나온 현 단계가 돼서야 조금씩 퍼져나오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검찰은 이달 중순쯤 이 전 의원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티엠테크가 포스코로부터 일감을 수주하는 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했는지 △티엠테크에서 발생한 수익의 일부를 수수한 사실이 있는지 등을 캐물을 계획이다.

검찰은 티엠테크 관련 첩보가 최근에서야 등장한 정황으로 볼 때 티엠테크처럼 정치권과 연결된 업체가 추가로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수사를 확대할 방침이다.

검찰은 "추가로 확인되는 의혹을 덮어둘 순 없다"고 강조했다. 포스코 수사 장기화를 둘러싼 비판 여론에도 불구하고 관련 의혹에 대한 수사는 계속하겠다는 뜻이다. 박 전 차관 등 전 정부 인사가 추가로 수사 대상에 오를 가능성도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