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증시 급락 바라보는 월가 시각은…

머니투데이 뉴욕=서명훈 특파원 2015.07.28 11:53
글자크기

中 정부 정책 신뢰성에 의문, 추가 개입시 '위안화 국제화' 타격… 증시 급락→자산가지 동반하락 우려

中 증시 급락 바라보는 월가 시각은…


“중국 정부의 증시 부양정책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지 않다는 신호다. 또 다시 증시 개입을 통해 주가 부양에 나설 수는 있겠지만 더 많은 것을 잃게 될 것이다”

중국 증시가 지난 27일 폭락한데 이어 28일에도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는 것에 대한 월가의 반응이다.



먼저 월스트리트저널은 27일(현지시간) 중국 증시 급락으로 증시 부양책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IG의 데이비드 매든 애널리스트는 “중국 증시 붕괴는 정부의 안정화 정책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음을 보여 준다”며 “증시에 더 많은 자금을 쏟아 부어도 신뢰를 다시 회복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증시 급락은 투자자들이 시장은 물론 정부의 시장 통제 능력에 대해 더 회의적으로 변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지적이다.

중국 정부는 6월말부터 7월초까지 무려 40가지가 넘는 증시 부양책을 쏟아냈다. 금리와 지급준비율을 인하한 것은 물론 기금의 주식투자를 30%까지 허용하고 신용거래 규제도 완화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내놓은 증시 부양책은 약 5조위안(약 940조원)의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10%에 해당하는 규모다.

문제는 중국 증시가 추가 하락해 다시 중국 정부가 나설 경우 역효과가 적지 않다는 점이다. 현재 중국은 전·현직 지도부가 모여서 정책을 논의하는 이른바 '베이다이허(北戴河) 회의가 진행되고 있어 추가적인 조치를 내놓을 가능성도 남아 있다.


드베어(deVere) 그룹의 나이젤 그린 대표는 “중국이 외국인에게 자본시장을 개방하고 싶어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며 “하지만 이는 보다 진보된 글로벌 스탠더드를 요구한다”고 지적했다. 지나친 시장 개입이 글로벌 스탠더드와 맞지 않는다는 비판인 셈이다.

또한 추가적인 개입은 자본시장 개방을 통해 경쟁을 촉진하고 해외자본을 유치, 궁극적으로 위안화를 국제통화로 격상시키려는 노력을 물거품으로 만들 수도 있다. 특히 증시가 급락하면 정부가 나서서 구제해 준다는 잘못된 인식을 투자자들에게 심어주게 되고 이는 중국 금융시스템의 또다른 리스크가 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중국의 증시 급락이 부동산을 비롯한 다른 자산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시걸 브라이언트&해밀의 랄프 시걸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증시가 추가 하락할 경우 중국 경제 전반으로 파장이 미칠 수 있고 상품 수요와 다른 제품 수요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주가가 하락하면 대차거래를 주로 하는 중국 투자자들은 상환 압력이 커지고 결국 다른 자산을 팔아 현금을 확보해야 한다. 이는 결국 다른 상품 가격이나 부동산 등 다른 자산의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증시 급락이 중국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란 주장도 제기된다. 중국 가계의 자산 구조는 예금과 부동산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주식 투자 비중은 높지 않다. 증시의 영향력이 제한될 수밖에 없는 이유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