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국정원 해킹 공방…"시간 끌지 마라" vs "검찰수사·청문회 해야"

머니투데이 박경담 기자 2015.07.21 10:59
글자크기

[the300]"추경과 주고받기 식 협상하면 안돼" vs "검찰수사·청문회 거부는 박 대통령 책임"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가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상임위원장·간사단 연석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15.7.21/뉴스1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가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상임위원장·간사단 연석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15.7.21/뉴스1


 이종걸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가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15.7.21/뉴스1  이종걸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가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15.7.21/뉴스1
여야는 21일 국가정보원의 해킹 의혹과 관련해 공방을 이어갔다. 새누리당은 야당이 국정원 현장 검증을 미루고 있다며 비판한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진상 규명을 위한 검찰수사와 청문회를 개최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 상임위원장·간사단 연석회의에 참석한 이철우 의원(국회 정보위원회 여당 간사)은 "국정원을 현장 방문하는 것 자체가 유래가 없고 내부 서버를 열어 보는 것은 굉장히 위험한 일이다"며 "의혹을 풀기 위해 명백히 할 필요가 있다고 해 현장 검증을 결정했는데 (야당이) 차일피일 미루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원내대표 회동이 오늘 있는데 지난번 공무원연금개혁 협상 때 국회법을 주고받기 한 것처럼 국정원 문제를 해결하면 안된다"며 "국가 안보를 가지고 흥정하는 꼴이 된다. 추가경정예산 합의가 안되는 한이 있더라도 주고 받기를 하면 안된다"고 강조했다.

정보위 위원인 박민식 의원은 "지난해 9~10월 달에 카카오톡 감청이 있었을 때 국민 200만명이 사이버 망명을 했지만 얼마 안 가 99.9%가 원대 복귀했다. 대한민국 국민 한 명이라도 감청이나 도청됐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있나"며 "해킹 프로그램 도입은 정보기관으로서 당연히 해야 할 일이다. 사찰했다는 근거가 하나도 없는데 (야당이) 부채질해서 불안하게 하는 건 아닌지 생각든다"고 말했다.



새정치연합은 국정원에 대한 검찰조사와 청문회를 거부하면 책임이 박근혜 대통령에게 있다고 주장했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당 원내대책회의에서 "대북 테러용이라고 하면서 동시에 증거가 될 수 있는 국가기밀을 삭제하는 것은 앞 뒤가 맞지 않다"며 "일개 국정원 직원이 국가 정보에 접근해 삭제를 하는 것도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멀리 갈 것도 없이 대선개입 댓글사건과 간첩증거조작 사건도 국정원 주장이 거짓으로 판명됐던 것을 다 기억하고 있다"며 "국정원이 검찰 수사와 국회 조사를 거부하면 그 책임은 박근혜 대통령에게 있음을 분명히 밝힌다"고 말했다.


정보위 야당 간사인 신경민 의원은 "이번 공개된 2014년 3월20일 회사(이탈리아 '해킹팀') 측 이메일을 보면 '한국 국정원 시니어 매니지먼트'가 국정원의 노출 위험성을 심각하게 물었다"며 "'한국 국정원 시니어 매니지먼트'는 국정원 수뇌부 중 국정원장을 뜻한다. 당시 국정원장은 바로 남재준 원장이기 때문에 남 전 원장이 이에 답할 이유를 갖고 있다"며 전·현직 국정원장들의 해명을 요구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