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포스코, MB정부 부실 그림자 찾기

머니투데이 김남이 기자, 김평화 기자 2015.07.22 10:56
글자크기

정권 바뀔 때마다 측근이 수장 맡아…무리한 사업 확장 나섰다가 낭패 공통점

대우조선해양이 저지른 2조원대 손실 은폐에 관한 조사가 올 초 포스코 관련 수사처럼 지난 정부 실정에 관한 책임공방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22일 재계 관계자는 "포스코에 대한 조사도 성진지오텍 지분을 터무니없이 비싼 가격에 샀다는 부실의혹에서 시작된 것"이라며 "대우조선에 관한 회계손실 조사도 각종 비리 수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대우조선과 포스코는 모두 '주인 없는 회사'다. 정권이 바뀌면 경영진도 함께 바뀌는 것이 관행처럼 이어져 왔다. 포스코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회장이 바뀌고 전임 회장이 수사를 받는 데자뷰를 겪어 왔다. 이번에는 대우조선 차례라는 게 재계의 시각이다. 전임 사장인 남상태, 고재호 사장은 MB정권의 인물로 분류된다.

특히 대우조선의 경우 부실의 규모가 크고, 전임 사장들의 재임 당시 회사가 각종 비리와 연루된 바 있어 비리 수사 가능성에 힘이 실린다. 대우조선은 남 전 사장의 연임로비 의혹, 계열사 임원의 횡령 등을 겪었고, 2011년에는 대우조선의 전직 감사실장이 남 전 사장을 비롯한 회사 임원을 검찰에 고소하는 일도 있었다.



신대식 전 감사실장은 당시 고소장에서 "남 전 사장 등이 2008년 9월 감사실장을 징계·해고한 것은 임직원 비리를 파헤치는 직무에서 배제하기 위한 것"이라며 "남 사장의 연임에 정권 실세들이 연관돼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와 함께 대우조선과 포스코는 MB측근인 천신일 세중나모 회장과 연루된 공통점이 있다. 2010년 검찰은 대우조선해양 비리 수사하며 천 회장을 구속기소한 바 있다. 천 회장은 대우조선해양의 협력사로부터 47억원을 수수한 혐의로 징역 2년, 추징금 31억원을 선고받았다. 천 회장은 이후 2013년 1월 MB정부 말 사면을 받았다.

천 회장은 최근 포스코그룹 수사에서도 구설수에 올랐다. 천 회장은 2009년 정준양 전 포스포그룹 회장 인선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았다. 2009년 4월 우제창 당시 민주당 의원은 국회에서 "박영준 국무차장과 천신일 세중나모 회장이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 이구택 회장 등을 사전 접촉해 ‘청와대 뜻’이라며 정 회장을 지원했다"고 주장했다.


업계 관계자는 "대우조선해양이 산업은행 체제가 되면서 정권이 바뀔 때 마다 외풍에 시달렸다"며 "기관 및 개인 투자자들의 손실도 큰 만큼 강도 높은 조사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