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하면 바보"…울산지역 의원들 '석대법' 통과 총력전

머니투데이 이현수 기자 2015.05.29 05:53
글자크기

[the300-런치리포트][국회에 발묶인 '국제석유거래업' ③]

박근혜 대통령이 2013년 11월 울산항 동북아 오일허브사업 기공식에 참석해 주요참석자들과 함께 기공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박근혜 대통령이 2013년 11월 울산항 동북아 오일허브사업 기공식에 참석해 주요참석자들과 함께 기공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사진=청와대 제공


"박맹우 현 의원이 울산시장을 할 때 이것을 하기위해 국제적으로 엄청난 노력을 했다는 얘기를 했어요. 부가가치가 굉장히 높다는 것은 저도 들어서…"(이진복 새누리당 의원)

"현 김기현 울산시장 얘길 들어도 '이것은 안 하는 게 바보다. 국부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라고, '가만히 있는 게 바보'라는 표현까지 쓰면서 강조하더라고요."(홍지만 새누리당 의원)



정부의 '동북아 오일허브사업'은 울산의 오랜 숙원사업이다. 항로에 대규모 석유저장시설을 지어 국제 석유거래의 중심지로 발돋움한다는 구상인데, 실제 2조원 규모의 저장시설 구축이 진행 중이다. 부지면적은 90만6000㎡, 저장용량은 2840만 배럴에 달한다.

울산을 지역구로 둔 국회의원들은 보세구역 내 석유제품 혼합을 허용하는 '석유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 개정에 힘을 쏟고 있다. 울산 중구가 지역구인 정갑윤 국회부의장은 지난달 24일 산업통상자원부 기조실장에게 관련 보고를 받고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기 위해 가장 중요한 법적기반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부의장은 특히 국회 예산정책처의 사업 재검토 보고서에 대해 "지난해 예산정책처가 사업성 등에서 과하게 판단해 지나치게 우려한 내용을 들어 (법안이)제 때 처리되지 못한 것은 매우 안타깝고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울산 남구갑을 지역구로 둔 이채익 새누리당 의원 역시 법개정에 총력을 기울인다. 그는 29일 산업위 전체회의서 "성공적인 동북아 오일허브사업을 위해 국제 석유거래업 신설이 조속히 추진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에 따르면 현재 울산 동북아 오일허브사업에는 중국 최대 정유회사인 시노펙(Sinopec)이 참여의사를 표시한 상태다. 시노펙은 현재 사업 철수 의사를 밝힌 네덜란드 석유저장업체 보팍(Vopak)의 대체사업자로도 평가받고 있다. 정부는 당초 석유공사, 보팍, S-Oil 등을 대주주로 한 법인을 출범시킬 예정이었으나, 보팍이 저유가 등을 이유로 올초 투자 취소 결정을 내렸다.


한편 석유공사는 2008년 11월 석유공사와 SK에너지, GS칼텍스 등이 참여한 오일허브코리아여수(OKYC)를 설립하고, 29만 1343㎡에 탱크 36기를 건설했다. 여수터미널 저장 규모는 820만 배럴이며, 지난달 기준 계약률은 100%다.

정부 관계자는 "저장탱크사업은 물량이 빠져나가면 저장률이 줄게 돼있어, 저장률보다는 탱크 계약률이 중요하다"며 "여수의 물동량 늘고 있고 트레이딩도 상당히 활성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여수에는 석유 블렌딩 시설이 있지만 규제 때문에 사용하지 못해, 석대법이 개정될 경우 활용도가 높아질 전망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