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노동자 노동절집회 "노동3권 보장"…네팔 추모도

뉴스1 제공 2015.04.26 17:50
글자크기

5월1일 '세계 노동자의 날'"…쉬지 못하는 이주노동자 많아 직전 일요일 개최
네팔 지진 희생자 추모묵념…"네팔 혼자 큰 재앙 극복 힘들어…각국 지원 절실"

(서울=뉴스1) 박현우 기자 =
26일 오후 서울 종로구 보신각 앞에서 열린 '2015 이주노동자 노동절집회'에서 참가자들이 '네팔 힘내세요' 손팻말을 들고 있다. 2015.4.26/뉴스1 © News126일 오후 서울 종로구 보신각 앞에서 열린 '2015 이주노동자 노동절집회'에서 참가자들이 '네팔 힘내세요' 손팻말을 들고 있다. 2015.4.26/뉴스1 © News1


다음달 1일 노동절을 앞둔 일요일인 26일 서울 시내에서 외국인 이주노동자들이 노동절 집회를 미리 열었다.

이주공동행동 등은 이날 오후 2시 베트남·캄보디아·태국·네팔·방글라데시 등의 이주노동자와 국내 사회단체 회원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 종로구 보신각 앞에서 '이주노동자 노동3권 쟁취! 이주노조 10년, 합법화 촉구! 이주노동자 노동절 집회'를 열었다.



이주공동행동에 따르면 세계 노동절인 5월1일에 이주노동자들은 대부분 사업장에서 일을 하기 때문에 집회나 행사에 참여하기 힘들어 매년 노동절 직전 일요일에 '이주노동자 메이데이 집회'가 열린다.

우다야 라이 이주노조 위원장은 대회사를 통해 "70만 이주노동자들이 아직도 가장 최하층에서 노동하며 사회에 기여하고 있지만 기본적인 노동권조차 보장받고 있지 못하다"며 "이주노조 합법화와 노동3권 보장, 사업장 변경의 자유 보장, 퇴직금 제도 개선을 반드시 해야 한다"고 밝혔다.



민주노총 최종진 수석부위원장은 "한국 정부와 사업주들이 이주노동자를 착취하면서 제대로된 인간적인 대우는 하지 않는다. 이러한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민주노총이 함께 연대하겠다"고 힘을 실었다.

각 나라 공동체를 대표해 발언한 이주노동자들은 ▲퇴직금제도 개악 철회 ▲사업장 변경의 자유 보장·체류기간 연장 ▲출입국관리법 개악 저지·단속추방 중단·미등록 이주민 합법화 ▲이주여성에 대한 차별·착취·폭력 중단 ▲최저임금 대폭 인상 등을 요구하며 이주노동자들의 목소리에 정부와 사업주가 더 귀를 기울여 줄 것을 촉구했다.

이들은 보신각에서 을지로를 거쳐 중구 경향신문사까지 행진한 뒤 오후 5시부터 열리는 '이주노조 10주년 기념행사'에 참가했다.
26일 오후 서울 종로구 보신각 앞에서 열린 '2015 이주노동자 노동절집회'에서 네팔 지진 참사 희생자들에 대한 묵념을 하고 있다. 2015.4.26/뉴스1 © News126일 오후 서울 종로구 보신각 앞에서 열린 '2015 이주노동자 노동절집회'에서 네팔 지진 참사 희생자들에 대한 묵념을 하고 있다. 2015.4.26/뉴스1 © News1
한편 이날 집회 중 네팔 지진으로 인해 희생된 피해자들의 넋을 기리는 묵념이 이어지기도 했다.


또 집회 중간중간 각국 참가자들은 네팔에서 큰 지진이 일어나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는 등 피해가 발생한 것에 대해 위로의 말을 전하며 잘 극복하기 바란다는 메시지를 전했다.

이와 관련 이주노조 오산지부 사무국장이자 네팔 공동체 회원인 로손 라이씨는 "모국에서 발생한 재앙으로 가슴이 아프다"며 "지금까지 공식발표 상으론 사망자가 2000명에 달한다고 하는데 시내에서 멀리 떨어진 기술이 낙후한 지역에서는 집계가 미처 되지 않아 더 많은 사망자가 나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한국 정부의 지원과 시민단체들의 도움 손길에 감사하고 네팔 국민들이 큰 힘을 얻을 것 같다"면서 "우리 정부가 이런 큰 재앙을 스스로 극복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주변국들의 도움의 손길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