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 많았던' 단원고 특별전형, 시행 계획 들여다보니…

머니투데이 최민지 기자 2015.04.14 06:09
글자크기

[세월호 1주기]SKY 시행 확정…일부 대학 특혜 논란에 특별전형 계획 철회하기도

 세월호 참사 희생자 유가족들과 4월16일의 약속 국민연대 회원등이12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밤샘 농성을 벌이고 있다.  이들은 11일 밤 집회를 열고 청와대 진출을 시도하다 광화문 광장에서 경찰력과 대치했다. 2015.4.12/뉴스1 세월호 참사 희생자 유가족들과 4월16일의 약속 국민연대 회원등이12일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밤샘 농성을 벌이고 있다. 이들은 11일 밤 집회를 열고 청와대 진출을 시도하다 광화문 광장에서 경찰력과 대치했다. 2015.4.12/뉴스1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놓고 유족과 정부가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가운데 대학들이 이 법안에 포함된 '단원고 졸업생 특별전형'을 적극적으로 실시하겠다고 나서서 이목을 끈다. 사고를 겪은 학생들이 다른 수험생과 동일선상에서 경쟁하는 게 불리할 것이므로 이를 배려하는 차원에서다.

의도는 좋지만 이 전형을 '특혜'로 보는 대중의 시선은 교육부와 각 대학이 넘어야 할 장애물로 지적된다. 일부 대학은 특혜 논란이 일자 단원고 전형을 정원내에 편성하려던 계획을 철회하기도 했다.



13일 교육부에 따르면 각 대학은 단원고 특별전형에 관한 계획안을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제출했다. 전형 실시 대학과 전형 확정안은 이달 말 대교협이 수합해 발표한다.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등 이른바 명문대를 비롯한 다수의 대학들이 단원고 특별전형 실시를 결정했다. 또 대부분 대학은 학교생활기록부와 면접평가를 병행하는 형태의 계획안을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교협 관계자는 "현재까지 특별전형을 신청한 대학의 정원을 모두 합하면 이미 수백명이 넘는다"고 전했다.



대교협은 사고 당시 단원고 생존자는 88명이지만 학생들에게 최대한 기회를 주기 위해 4월말까지 대학별 신청을 추가로 받는다는 입장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과거 재해가 일어난 지역 학생들을 배려하는 차원에서 만든 특별전형으로는 2012년 시행된 '서해 5도 특별전형'이 있다"며 "각 대학은 정원외로 선발하면 반드시 학생을 뽑아야 한다는 부담을 덜 수 있고 타 수험생과의 경쟁에 미치는 영향도 크지 않을 것이라는 이점이 있다"고 말했다.

교육부 정책과 별개로 정원내 사회적배려자 전형을 통해 단원고 학생을 선발하는 대학도 있다. 선문대는 정원내 전형에서 단원고 학생을 뽑는다. 선문대 입학처 관계자는 "세월호 유족들이 반대하는 세월호 특별법에 입각한 대입 전형은 받아들이지 않기로 했다"며 "우리 대학은 사고 직후에 정원 내 단원고 전형을 만들기로 계획했고 본래 취지가 변질될 것을 우려해 이 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선문대와 같은 시기에 정원내 단원고 전형을 편성하기로 했던 경기대와 한양대 에리카캠퍼스는 계획을 철회했다. 경기대와 한양대 관계자는 "특별법에 따라 인원을 정원외로 편성한 것 뿐"이라는 입장을 밝혔지만 일부에선 특혜 논란을 지나치게 의식했다는 비판도 나온다.


별도 전형이 만들어지는 만큼 단원고 학생에 맞는 별도의 선발 방식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다. 올해 단원고 출신 신입생을 선발한 수도권 대학의 한 입학처 관계자는 "기억에 남는 선생님과 친구, 동아리 활동 경험 등 평범한 인성면접 질문도 단원고 학생에겐 상처가 될 수 있어 조심스러웠다"며 "학생부만 놓고 선발하기엔 변별력이 없고 면접을 치르기엔 상당히 까다로운 학생들이라 입학처에서도 고민이 많다"고 전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