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오픈프라이머리 채택…법제화 여야 협상

머니투데이 구경민 기자 2015.04.09 12:41
글자크기

[the300]유승민 "법제화 위해 정개특위서 여야 합의 노력"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주요당직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15.4.9/뉴스1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주요당직자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15.4.9/뉴스1


새누리당은 9일 의원총회에서 보수혁신특별위원회가 마련한 완전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 도입 등 혁신안을 박수로 추인했다. 새누리당은 지난 2일 의총에서 혁신안을 당론으로 채택할 계획이었으나 의원들의 반발에 부딪혀 추인을 하지 못했다.

이날 의총에서는 보수혁신특별위원회가 내놓은 혁신안 △완전국민경선제, 석패율제(지역구에서 가장 근소한 표차로 낙선한 후보를 비례대표로 당선시키는 제도) △여성·장애인 정치 신인에게 10~20%의 공천 가산점 부여 하는 방안 등을 원안대로 모두 추인했다.



공직선거 후보자의 등록 후 사퇴를 금지하고 국고보조금 통장을 별도로 만들어 운영하는 내용의 공직선거법과 정치자금법 개정안도 혁신안에 포함돼 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의총후 기자들과 만나 "새누리당은 국민들로부터 신뢰 받지 못하고 있는 정치권의 부조리 일소하고 신뢰 회복하는 길은 정당민주주의 확립하는 길이라는데 뜻을 같이 했다"고 말했다.



이어 "정당민주주의 시작은 공천권 행사를 국민들게 돌려드리는 길이다. 국회의원 하려는 자는 권력에 줄서지 말고 국민과 주민들에게 인정받고 지지받는 노력을 해야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것이 정치혁신이라는데 뜻을 같이 했다"며 "야당이 따라오지 못할 정도의 정당민주주의를 실현하기로 뜻 함께 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앞으로 "당대표를 비롯해 최고위원들이 공천권을 행사하는 일이 새누리당에서는 없어지게된다"면서 "권력자들끼리 비례 대표 나눠먹기 등 모든것을 투명하게 할 생각이다. 그동안 보수혁신위에서 만든 안을 전부 다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고 강조했다.


일부 부작용 지적에 대해선 "국민경선제도로 가는 원칙은 다 찬성인데 야당이 이것을 받지 못하거나 안받을 경우 새누리당만 국민경선제도를 하게 되면 역선택 등의 문제 있을수 있다는 문제제기가 있었다"며 "하지만 우리는 대한민국 정치를 국민으로부터 신뢰받게 하기 위해 국민경선공천제로 가야한다. 야당에서 같이 협조해주리라고 기대하고 있다"고 답했다.

야당에서 합의하지 않을 경우 여당만 단독으로 추진하는 것이냐는 질문에 "현재로서는 그 정신에 입각한 공천제도를 확립하겠다고 약속을 했다"고 설명했다.

공천권 내려놓기는 김 대표가 지난해 7월 전당대회에서 공천권을 국민과 당원에게 돌려주겠다고 한 핵심공약이었다.

8개월 만에 공천권 약속을 지키게 된데 대한 소감을 묻자 "새누리당 의원들에게 정말 감사드린다"며 "당대표가 당권이라는걸 잡을려고 많은 노력하는데 저는 당대표되서 당권의 권력권자를 없애겠다고 약속했다. 오늘 그 약속 지켜진 것에 대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보수혁신위에서 만든 혁신안을 원안대로 추인했다"면서 "일부 반대의원들의 의견을 듣고 김무성 대표의 설득으로 박수로 추인했다"고 말했다.

오픈프라이머리 제도 입법화를 위해서는 야당과의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 합의를 이루지 못하면 새누리당에서 당헌당규를 만들어 단독으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유 원내대표는 오픈프라이머리 제도에 대해 야당이 동의하지 않으면 여당 단독으로 추진하는 것이냐는 질문에 "지금부터 야당하고 정개특위에서 모든 쟁점에 대해 협상을 할 것이다. 정개특위에서 논의하는 것이 우선이기 때문에 당헌당규 변경은 당장은 못할 것 같다"고 말했다.

선거구 획정은 문제에 대해서는 "선거구 획정은 1차 보수혁신위 내용에 포함된 것으로 속기록을 찾아 보니 이완구 원내대표 시절 선거구 획정은 외부에서 논의해서 본회의에 가기로 돼 있다"면서 "그 입장을 가지고 정개특위에서 논의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