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vs 문재인'…출구막힌 자원특위, 5월로?

머니투데이 이현수 기자 2015.03.24 16:38
글자크기

[the300]7일 특위활동 종료…25일 기간 연장 가능

 국회 해외자원외교 국정조사 특위 여야 간사인 권성동 새누리당 의원(왼쪽)과 홍영표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증인 명단 채택 관련 협상을 위해 23일 국회에서 회동을 갖고 설전을 벌이다 자리에서 일어서고 있다./사진=뉴스1 국회 해외자원외교 국정조사 특위 여야 간사인 권성동 새누리당 의원(왼쪽)과 홍영표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증인 명단 채택 관련 협상을 위해 23일 국회에서 회동을 갖고 설전을 벌이다 자리에서 일어서고 있다./사진=뉴스1


국회 '해외자원개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가 청문회 증인채택 합의에 실패하면서 출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여야의 입장이 평행선을 이어갈 경우 국정조사 계획서에 따라 특위 활동이 5월까지 연장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24일 국회에 따르면 특위 여야 간사인 권성동 새누리당 의원, 홍영표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지난 19일 청문회 일정을 확정했으나 증인 협상에서 접점을 찾지 못했다. 23일 재협상에서도 간사 간 이견만 확인해 31일부터 시작될 계획이었던 청문회도 무산 위기에 놓였다.



현재 야당은 핵심증인 5명으로 이명박 대통령, 이상득 전 의원, 최경환 경제부총리, 윤상직 산업부장관,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새누리당은 문재인 새정치연합 대표, 정세균 의원 등을 요구하며 맞서고 있다.

증인문제를 둘러싸고 양당이 첨예하게 맞서면서 내달 7일까지로 예정된 특위 활동이 연장될 가능성도 점쳐진다.



여야가 지난 1월 합의한 자원외교 국정조사 계획서에 따르면, 특위 활동기간을 연장할 필요가 있는 경우 특위에서 합의해 1회에 한해 25일 이내 범위 안에서 활동기한을 연장할 수 있다. 특위 활동은 지난해 12월29일 시작돼 오는 4월7일 100일을 맞는다. 25일을 연장할 경우 종료일은 5월1일이다.

그러나 4월 재보선을 앞두고 특위 활동 연장은 여야 모두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어 막판 조율 가능성도 남아있다. 여당은 특히 이명박정부가 연관된 해외자원개발 특위를 서둘러 매듭지어야 하는 입장이다. 야당은 4월 공무원연금개혁 이슈로 특위 활동이 묻힐 수 있는 데다 원내지도부의 임기가 5월까지인 점도 고려 대상이다.

한편 여야 원내지도부는 특위 청문회 증인협상에 직접 나서기보다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지난 30일 당직자회의에서 "특위 권성동 간사에게 모든 권한을 일임했다"며 "간사가 특위 마무리를 전권을 가지고 해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그는 2차 증인협상 결렬 이튿날인 24일에도 "특위 간사에게 (증인협상을) 완전히 맡견다"고 강조했다.

우윤근 새정치연합 원내대표는 이날 당 원내대책회의에서 "이명박·이상득·최경환·박영준·윤상직 이 사람들이야말로 없어선 안 될 국민이 다 아는 핵심증인들"이라고 강조했으나 지도부 간 협의 여부에 대해선 별다른 말을 하지 않았다.

한편 지난해 세월호 국정조사 특별위원회는 청문회 증인을 둘러싼 여야 이견으로 청문회 자체를 열지 못했다. 특위 활동 기간의 한차례 연장이 가능했으나 이를 위한 국회 본회의가 열리지 않아 특위가 자동 해체된 바 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