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격' 비서실장 인선… 결론은 믿을 만한 '전략통'

머니투데이 김익태 기자 2015.02.27 18:02
글자크기

[the 300] 이병기, 주일대사·국정원장 이어 靑비서실장…회전문 인사 비판도(종합)

왼쪽부터 이병기 청와대 신임 비서실장, 이병호 신임 국정원장, 김성우 신임 홍보수석왼쪽부터 이병기 청와대 신임 비서실장, 이병호 신임 국정원장, 김성우 신임 홍보수석


박근혜 대통령이 김기춘 비서실장으로 후임으로 이병기(사진) 국정원장을 낙점한 것은 '장고' 끝 '파격'으로 평가된다. 정보기관의 수장을 국정운영의 콘트롤타원인 청와대 비서실장에 임명하는 것은 이례적이다. '정무통' '정책통'을 놓고 고심하던 박 대통령이 야권의 반발을 무릅쓰고 믿을 만한 '전략통'을 선택, 친정체제를 강화하면서 집권 3년차 산적한 국정현안을 풀어가겠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국정원장이 청와대 비서실장으로 자리를 옮긴 사례는 없었다. 다만 국정원의 전신인 중앙정보부장을 지냈던 김계원씨가 1978년 박정희 전 대통령 비서실장으로 임명돼 대통령을 마지막까지 보필한 바 있다. 이후락씨는 이와 반대로 비서실장을 거친 뒤 중앙정보부장을 지냈는데, 야당은 국정원의 정치개입금지, 중립 조항 원칙 위배라며 반발하고 있다.



이 실장은 박근혜정부 들어 2년 간 벌써 3번이나 자리를 옮기게 됐다. 초대 주일 대사를 거쳐 지난해 7월 국정원장에 취임했다. 국정원 개혁이라는 중책을 맡았지만, 7개월 만에 청와대로 이동했다. 인력풀의 한계를 드러낸 '돌려막기' '수첩인사'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역으로 보면 이는 곧 이 실장에 대한 박 대통령의 신임이 어느 정도로 두터인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완구 총리가 인사청문회에서 내상을 입으며 인적쇄신 의미가 상당히 퇴색, 차기 비서실장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치가 높아진 상태였다. 박 대통령은 쇄신, 국민·국회와의 소통, 경제 활성화 의지 등의 잣대를 놓고 고심에 고심을 거듭했다.



이날 오전에는 친박(박근혜) 원로인 현명관 마사회장이 유력하게 거론됐지만, 여권 내에서 2010년 지방선거 당시 동생의 선거법 위반으로 제주지사 후보였던 현 회장이 '공천 박탈' 됐던 이유 등을 들어 재고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박 대통령은 복수 후보로 검토하던 이 원장을 최종 낙점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태우 정권과 김영삼 정권에 이어 박근혜 정부에서도 대통령에 대한 정치적 조언자 역할을 해온 '전략통'이다. 외교관 출신으로서의 유연성과 함께 정계 안팎의 다양한 요직에서 축적한 정무감각까지 갖췄다는 평가다.

노태우 전 대통령의 의전비서관을 지내며 '문고리 권력'으로, 2002년 대선 때는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의 정치특보를 지내며 야권 내 실세로 통했지만, 겸손하며 신중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야당에서 국정원장의 비서실장 기용에 대해 비판하면서도 "이병기라는 사람 자체만 생각하면 이해가 간다"는 말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도 "국정원장 한 지 얼마 안 된 분이 가서 조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면서도 "소통은 잘할 것으로 본다"고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2005년 박 대통령이 한나라당 대표 시절 여의도연구소 고문으로 임명됐고, 2007년 대선 경선 당시 캠프의 선거대책위 부위원장을 맡아 정치적 조언을 해온 최측근 인사 중 하나다. 현 여당 지도부와도 친분이 두터워 당·청간 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고, 대야·대북·외교등 국정 장악력을 높일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 실장은 대북정책에서 상대적으로 '비둘기파'로 분류돼, 박 대통령이 임기 3년차 적극적으로 남북관계를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결국 김 실장 후임으로 15명 안팎이 하마평에 올랐지만, 고사하거나 부적격 요인이 드러나 선택의 폭이 제한적이었던 상황에, 국민의 기대에는 못미치만, 현실적으로 믿고 국정을 논할 인물은 이 원장 밖에 없었다는 의미다.

쇄신보다는 집권 3년차를 위한 친정체제 강화에 방점을 찍었다는 점에서 향후 국정운영 방식에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청와대와 당을 잇는 교량 역할의 정무특보단에도 비박계인 주호형 의원을 위촉했지만, 윤상현, 김재원 등 친박 핵심 의원들을 기용했다. 당·청간 소통이 강화될 것이란 기대감과 함께 헌법기관인 현역 의원의 특보 기용에 대한 비판도 나왔다.

지난해 6월 임명된 뒤 8개월여 근무한 윤두현 홍보수석도 전격 교체, 김성우 사회문화특보를 발탁했다. 현 정부 들어 4번째 홍보수석이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설연휴 전에 육체적으로 힘들다면서 비서실장께 사의를 밝혔고, 이번에 받아들여졌다"고 설명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