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노동시장 고령화와 청년실업은 동전의 양면

머니투데이 박계현 기자 2015.01.30 06:00
글자크기
[기자수첩]노동시장 고령화와 청년실업은 동전의 양면


"방송 연출 상 젊은 직원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한 30분을 넘게 찾아서 겨우 데려왔어요."

인천에 있는 A 제조업체 홍보담당 직원의 푸념이다. 한 방송사에서 부품을 조립하는 장면을 화면에 담으려 하는데 생산직 직원이 돋보기부터 찾아쓰는 것을 보곤 젊은 직원을 불러달라고 했는데 아무리 찾아도 근처에는 없었다는 것이다.

정규직 1000여명을 고용하고 있는 A사는 영업이익률은 2%대지만 직원들에겐 만족스러운 직장이다. 정년 62세가 보장되고 자녀수 제한없이 대학등록금까지 학자금을 지원한다. 생산현장에선 70년대 사번의 머리 희끗희끗한 현장직을 찾아보기 어렵지 않다.



그러나 고용이 안정된 만큼 회사의 성장률도 제자리걸음이다. 국내 시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이 회사는 연간 10여명 내외로 인력공백을 메우는 채용만 한다. 그나마도 경력직들이 이 자리를 대부분 채운다. 20대 직원은 사내에서도 손에 꼽을 정도로 수가 적다.

A사의 상황은 한국 고용현장의 축소판이나 다름없다. 통계청이 이 달 중순 발표한 '연간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취업자수는 12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청년실업률(15세~29세) 역시 2000년 통계작성을 시작한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고용보험 피보험자의 평균연령은 2000년 35.2세에서 2013년 41.9세로 증가했다. 청년 인구도 줄고 이들의 일자리 역시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대다수의 20대들은 졸업 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해 학자금 대출로 빛에 허덕인다. 2014년 기준 20대 한 명당 부채는 1558만원으로 2010년 936만원에 비해 66.5%가 증가했다. 이들을 안정적인 일자리로 유입시키지 못하면 우리 사회의 저성장은 끝나지 않는다.

2016년부터 각 사업장의 '정년 60세 의무화'가 시작되면 신규채용은 더욱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일부에선 임금피크제 등을 해법으로 내세우고 있지만 임금제 개편이 고용으로 이어진다는 보장은 없다. 노동시장 고령화와 청년실업은 무엇이 원인이고 무엇이 결과인지 파악하기도 쉽지 않다. 분명한 점은 일자리 확대가 선행되지 않는 한 아버지가 일하면 아들이 노는 저성장 시대의 '일자리 딜레마'를 해결할 방법이 없다는 점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