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유언비어 왕국? 네티즌 수사대의 힘이 더 컸다

머니투데이 최광 기자 2014.05.16 09:30
글자크기

[세월호 한달]유언비어 검증…국회의원에 행동촉구 등 긍정적인 영향력이 악성루머 덮어

세월호 침몰 사고가 발생한 직후 인터넷 카페와 게시판,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는 세월호 침몰 사고의 원인과 정부의 대처를 둘러싼 괴담이 난무했다. 이러한 움직임과 달리 인터넷 공간에서는 세월호 참사에 대한 유언비어를 검증하고, 정부의 적극적인 대처를 요구하는 움직임도 활발하게 일어났다.

정부는 유언비어 유포를 엄벌하겠다고 천명했고, 발 빠르게 유언비어 초기 유포자를 적발하기 시작했다. 경찰은 사고 발생 일주일 만에 세월호 관련 악성 유언비어 87건을 적발해 15명을 검거했다.



경찰청이 지난 7일까지 검거한 세월호 관련 유언비어 유포자는 모두 39명으로 이중 구속된 사람은 2명이다.
세월호 참사 유언비어 유포자 검거 현황세월호 참사 유언비어 유포자 검거 현황


유언비어 유포가 기승을 부리자 박근혜 대통령까지 나서 "유언비어가 확산되고 있는 것은 사회적 혼란을 야기시키는 불순한 의도가 있는 것"이라며 "거짓말과 유언비어의 진원지를 끝까지 추적해 그들의 행동에 대해 책임을 지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월호 관련 유언비어 중 사회혼란을 부추길만한 내용은 해경이 의도적으로 시신인양을 하지 않고 있다는 해경에 대한 명예훼손성 발언과 세월호 침몰이 미군잠수함과 충돌로 인해 발생했다는 루머 정도였다.



세월호 유언비어 유포 검거자 39명 중 21명이 세월호 사망자와 실종자, 가족 등을 비방한 혐의를 받고 있으며, 5명이 생존자 사칭, 4명은 희생자에 대한 명예훼손 혐의였다. 해경에 대한 명예훼손 혐의는 8명에 불과했다.

검거된 이들 중 21명이 10대로, 주변에 관심을 끌기 위해 '철없는' 행동을 저지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인터넷 업계 관계자는 "'사회혼란을 야기하는 불순한 의도가 있다'는 발언이 유언비어였던 셈"이라며 "실제 사고 발생 초기에 난무했던 유언비어는 빠른 시일 내에 네티즌들의 자정작용을 거쳐 사그라들었다"고 말했다.
세월호 유언비어 카카오톡 실종자 사칭세월호 유언비어 카카오톡 실종자 사칭
실제 더딘 수색작업에 대한 불만에서 시작된 해경의 명예훼손은 다이빙경험이 풍부한 다이빙 전문가들의 차분한 설명으로 해소될 수 있었고, 물속으로 가라앉은 배 속에서 카카오톡이나 문자메시지를 보내기가 어렵다는 사실은 여러 공학자들의 분석으로 도출됐다.


한상기 소셜컴퓨팅연구소 대표는 "인터넷에 떠도는 유언비어는 다른 네티즌의 반박으로 자연스럽게 소멸된다"며 "정작 문제는 검증이 가능한 허위사실 유포가 아니라 타인의 감정에 상처를 줄 수 있는 명예훼손과 같은 발언들"이라고 말했다.

인터넷커뮤니티 일간베스트에는 피해자를 성적으로 묘사한 게시물이 올라오거나, 심지어 정몽준 새누리당 의원의 아들과 김호월 전 홍익대학교 교수는 페이스북에서 세월호 유족들이나 국민을 미개인이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일부 일베 회원들은 '유족충'이라고 칭하며 유족을 가장한 '전문 시위꾼'이 있다는 음모론을 제기했다. 이 주장은 권은희 새누리당 의원이 그대로 인용했다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바 있다.



구태언 법무법인 테크앤로 대표변호사는 "불문명한 사실에 대한 의혹제기와 명예훼손은 구분해서 생각할 필요가 있다"며 "세월호 참사로 상심한 가족과 피해자를 상대로 한 명예훼손성 발언에 대해서는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 등으로 강력한 처벌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네티즌들은 허위사실의 유포나 명예훼손과는 별개로,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대책을 촉구하거나 자발적인 추모모임을 조직하는 등 적극적인 직접행동에 나서고 있다.
응답하라 국회의원응답하라 국회의원
실제 지난달 20일 개설된 국회의원에게 세월호 침몰사고 실종자 구조와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이메일을 보내는 사이트 '응답하라 국회의원!'에는 1만4000명에 이르는 네티즌이 자신의 지역구 국회의원에게 이메일을 발송했다.

허위사실에 대한 검증과 진도 희생자 가족들을 위한 지원활동도 정부보다는 네티즌들의 공이 컸다.



한명수 인터넷기업협회 사무국장은 "인터넷 공간에서는 부정적인 현상이 발생하면 곧바로 이를 정화하려는 움직임이 뒤따른다"며 "한국의 인터넷 공간은 긍정적인 힘이 부정적인 것들보다 크게 작용하고 있는 곳"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