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규제·유동성 위험' CP시장 축소 계속되나

머니투데이 최종원 삼성증권 책임연구위원 2014.01.16 07:21
글자크기

[머니디렉터]

↑최종원 삼성증권 책임연구위원↑최종원 삼성증권 책임연구위원


CP 발행잔액이 127.2조원으로 줄었다. 동양사태가 발생된 직후에도 CP 발행잔액이 141조원을 기록했고, 장기 CP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기 직전 5월 초의 146조원과 비교하면 발행 잔액 감소폭은 매우 크다. 무슨 일이 있었을까?

CP 발행의 감소는 2013년 실시한 두 가지 정부의 규제정책 때문이다. 5월 장기 CP 발행 시 신고서를 제출하도록 한 것과 MMF 편입 상품의 유동성을 강화한 것이다.



첫 규제였던 장기 CP 발행 신고서 의무화는 오래 가지 않았다. 정부가 요구한 요건만 충족하면 발행이 가능했고 장기 CP에 대한 수요가 사라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5월 이후 감소되던 CP 잔액은 7월 135조원을 저점으로 다시 회복되었다.

이후 10월 동양사태를 겪어 CP에 대한 불안감이 있었음에도 발행 잔액은 증가했다. 개인들의 불안감이 기관투자가들로 연결되지 않아 수요가 많았기 때문이다.



CP 잔액이 줄어들기 시작한 것은 MMF 규제가 시작된 12월부터였다. MMF에 편입되는 자산의 가중평균 만기를 기존 90일에서 75일로 낮추면서 CP의 편입매력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실제 2013년 12월 말 MMF에 편입된 CP 잔액은 1월 말 32조원보다 12조원 감소된 20조원으로 구성비중은 41.1%에서 30.6%로 감소했다.

CP 발행 잔액 감소는 투자자의 심리 위축도 한 몫 했다. 위험기업의 CP투자로 유동성 위험을 경험한 투자자들이 CP 상품 자체에 투자를 꺼리는 현상까지 나타난 것이다.

기업의 단기자금조달은 정부의 의도대로 전자단기사채로 이동하고 있다. 불확실성이 높고 거래의 투명성이 확보되지 못한 CP보다 간편하고 투명성이 높은 전자단기사채를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CP를 발행하던 기업들은 카드사를 중심으로 전자단기사채를 발행하기 시작했고, ABCP도 ABSTB로 대체되고 있다.


2013년 5월부터 순발행되기 시작된 전자단기사채의 발행 잔액은 올 1월 14일 기준 14조7000억원으로 확대됐다. CP 감소 속도보다 더디게 잔액이 증가되고, 완전히 CP를 대체할 수 없지만 전자단기사채의 규모는 추후 확대될 것으로 예상한다.

투명하지 못했던 CP가 전자단기사채로 대체되면서 시장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