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는 현재 미국에서 매년 7회, 그 외 나라에선 평균 6차례씩 치러진다. 전 세계 180여개 국에서 같은 날짜에 시험이 실시되다 보니, 시험의 관리·감독은 ETS가 지정한 테스트 센터가 책임지는 형편이다.
이 때문에 테스트 센터를 둘러싼 잡음이 끊이질 않고 있다. 2006년에는 한영외고에서 문제 유출 의혹이 일자, ETS가 테스트 센터 자격을 취소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최근에는 지난 10월 치러진 SAT가 3월 시험과 100% 똑같이 출제돼 만점에 가까운 점수를 받은 학생들이 속출했다.
이런 사건이 터질 때 마다 ETS는 '땜질식 사후 처방'을 반복해 왔다. 2007년 1월에는 한국에서 시험을 본 응시생 900명의 시험 결과를 취소한 데 이어 올 초에 터진 유출 사건 이후에는 한국의 응시 횟수를 1년에 6회에서 4회로 축소시켰다.
물론 시험보기 전에 진행되는 신원확인 절차를 위조하기 쉬운 학생증에서 여권으로 바꿨다거나 30세 이상의 응시자는 특별 감독하기도 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보기엔 역부족이다.
이 시각 인기 뉴스
교육당국도 갈수록 교묘해지는 문제 유출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그 동안 문제가 터질 때마다 ETS에 수 차례 연락을 취했지만 제대로 된 해명을 들을 수 없었다"며 "제보에 의존해 학원을 단속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고 답답해 했다.
교육계의 한 관계자는 "SAT 유출이 연례행사처럼 돼버린 것은 ETS의 미지근한 대응 탓이 크다"며 "잇따른 시험지 유출이 도마에 오를 경우 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지면서 또 다른 미국 대학입학자격시험인 ACT(American College Test)에 밀린다는 위기감이 작용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톰 유잉 ETS 대변인은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의 현재 상황을 적극적으로 감시하고 있다"고 원론적인 입장을 밝힌 바 있다.
2007년 5월에 치러진 SAT1 시험지. 주관사인 ETS는 제한적인 경로를 통해 시험지를 공개하고 있으나, 외부 공개나 판매를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다.(사진=이정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