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국정원 댓글 2번이나 단호히 거절"

머니투데이 이슈팀 정선 기자 2013.08.19 13:47
글자크기
김창호 좋은미래정책연구소 소장(참여정부시절 국정홍보처장)/사진=김창호 소장 네이버 미투데이김창호 좋은미래정책연구소 소장(참여정부시절 국정홍보처장)/사진=김창호 소장 네이버 미투데이


국가정보원 댓글 의혹 사건에 대한 국회 국정조사 청문회가 열리고 있는 가운데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 집권 당시 국정원의 댓글 제안을 단호하게 거부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참여정부 시절 청와대 국정홍보처장를 지낸 김창호 좋은미래정책연구소 소장은 19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지난 2006년 7월 국정원 제2차장이 참여정부에 한미 FTA(자유무역협정)와 관련한 댓글 작업을 제안했다"며 "노무현 전 대통령은 이 같은 제안에 2번이나 단호하게 거절했다"고 밝혔다.



김 소장은 원세훈 전 국정원장이 지난 16일 국정원 국정조사 청문회에서 '노무현 정부 때부터 정권 홍보를 위한 댓글 작업을 했다'고 주장한 데 대해 "공직자로서의 책임 있는 발언을 기대했는데 실망스럽다"며 주장의 구체적인 근거를 밝혀야 된다고 반박했다.

김 소장은 '국정원 제2차장이 청와대 국정홍보처장에게 댓글 제안한 게 사실이냐'는 질문에 "당시 저를 찾아와서 FTA 홍보에 관한 댓글을 달 수 있도록 대통령께 허락을 받아달라고 제안했다"며 "관련 자료를 주면 국정원이 댓글을 달겠다고 해서 정책의 정당성을 허물어뜨리는 일이니 옳지 않단 이유로 거절했다"고 주장했다.



김 소장은 날짜와 시간, 만난 장소도 기억하냐는 질문에 "2006년 7월 19일 저녁 7시 코리아나호텔 중식당에서 만났다"며 "당시 국정원이 FTA라는 핵심적 국정과제에 관여하지 못한다는 것에 위기를 느껴서 무슨 역할을 맡아야겠다는 생각을 했는지 홍보를 책임지고 있던 나를 찾아와 국정원에서 FTA 찬성을 위한 댓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대통령께 허락을 받아 달라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김 소장은 노 대통령의 태도에 대해 "보고를 들은 노 대통령은 절대 국정원이 여기에 관여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고 같은 날 다시 전화해서 절대 안 되는 일이라고 강력하게 말했다"며 "그 이후 민정수석실과 국정상황실에서 나하고 협의를 거쳐서 다시 국정원에 안 된다고 지시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김 소장은 국정원의 댓글 작업에 대해 "(이명박정부 차원에서) 모르고 이뤄졌을 가능성은 없다"며 "MB정부 공직자들의 윤리 의식이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증인선서를 거부한 원 전 원장에 대해서는 "공직자들이 공개적으로 '나는 허위진술을 하겠다'고 천명한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덧붙였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