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日·獨 등 선진국 기업, 고향 앞으로 U턴… 왜?

머니투데이 서명훈 기자 2013.06.10 09:15
글자크기

[창간기획;세계는 일자리 전쟁, 우리는…]<1부, 1-3>제조업 없이 일자리 없다
선진국, 세금 깎고 보조금 지급까지

美·日·獨 등 선진국 기업, 고향 앞으로 U턴… 왜?


“전체 고용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9%에서 30%로 올라가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앞으로 일자리가 꾸준히 늘어나는 것을 직접 목격할 수 있을 것이다”

미국 오바마 정부의 일자리 위원회(Obama's jobs council)를 이끌고 있는 제프 이멜트 제너럴일렉트릭(GE) 전 최고경영자(CEO)의 말이다. 미국 정부가 세금을 낮추고 제조업에 대한 지원을 늘리는 이유가 바로 ‘일자리’ 때문이라는 점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오바마 정부는 법인세를 35%에서 28%로 낮추고, 제조업에 대해서는 25%로 인하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또 현행 1년인 설비투자 세제혜택을 2년으로 연장하고 해외공장을 미국으로 이전(U턴)하는 경우 최대 20%까지 이전비용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같은 정부의 노력은 미국을 떠났던 제조업체들을 고향으로 불러 모으고 있다. 미국 3대 자동차업체인 포드와 제너럴모터스(GM)는 해외에서 생산하던 물량을 미국 공장에서 생산하기로 결정했다. 포드는 오는 2015년까지 총 160억달러(17조8000억원)를 투자해 중국과 멕시코의 픽업트럭 생산시설과 멕시코의 상업용밴 생산시설을 오하이오와 미주리로 이전키로 했다. 이를 통해 약 20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GM 역시 테네시 스프링힐 공장을 재가동해 쉐보레 SUV를 생산하고 픽업트럭을 생산하는 미주리 공장 생산시설도 확장키로 했다. GE는 중국과 멕시코의 생산시설을 매각을 추진했던 루이스빌의 ‘어플라이언스 파크’로 이전해 온수기와 세탁기, 냉장고 등을 생산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총 8억달러가 투자될 예정이다.

해외 생산에 주력했던 IT기업들도 이같은 행렬에 동참하고 있다. 애플은 올해부터 1억달러를 투자해 미국 내에서 매킨토시 컴퓨터를 생산하기로 했고 구글은 미래 스마트기기로 각광받는 구글 글래스를 실리콘밸리에서 생산하기로 했다.

정부의 지원 외에도 경제환경 변화도 기업들의 U턴을 부추기고 있다. 박현수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중국과 인도 등의 임금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생산시설 해외 이전의 가장 큰 이유였던 저렴한 인건비의 이점이 사라지고 있다”며 “에너지와 부동산 비용, 운송비용 등을 감안하면 해외 생산과 미국내 생산 비용간 격차가 크게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은 신규 일자리 약 50만개 가운데 3만5000개 가량이 이같은 U턴 기업들로 인해 창출될 것으로 전망했다.

장기불황에 시달렸던 일본은 제조업의 중요성에 보다 일찍 눈을 떴다. 2000년대 들어서면서 각종 규제를 완화하고 있다. 2007년에는 기업입지촉진법을 제정, 다양한 보조금을 지급했다. 지난해에는 법인세를 40.69%에서 38.01%로 인하했고 2015년에는 다시 35.64%로 낮출 예정이다.

이런 노력 덕분에 2003년부터 소니와 샤프, NEC, 캐논, 토요타, 혼다 등 일본의 주요 기업들은 해외로 공장을 이전하는 대신 자국내 생산시설을 확충했다. 최근에는 해외에 있던 생산시설을 일본으로 다시 옮겨오거나 국내 생산을 늘리는 추세다.

가와사키중공업은 태국공장 생산물량을 10%(1만6700대) 줄여 아카시 공장 생산물량을 늘리기로 했다. 닛산은 대표차종인 로그와 무라노를 미국에서 생산하던 계획을 연기했고 토요타도 9월까지 일본 생산물량을 20만대 늘리기로 했다. NEC 역시 중국과 대만의 노트북 생산물량을 줄이는 대신 요네자와 공장 생산물량을 160만대로 증가시킬 계획이다.

독일과 프랑스, 영국 등 유럽 국가들도 예외는 아니다. 먼저 독일은 기업들의 조세부담을 낮추기 위해 2007년 세율을 51.8%에서 38.7%로 대폭 낮췄고 금융위기가 발생하자 다시 29.8%로 인하했다.

덕분에 2003년 이후 독일을 떠나는 제조업체들이 감소하기 시작했다. 2006년 339건이던 해외 공장 이전은 2009년 161건으로 절반 이상 줄었고 독일로 돌아온 기업도 46개에 이른다.

프랑스는 농업과 저부가가치 제조업에 집중된 산업구조를 바꾸기 위해 2000년대 중반부터 적극적으로 제조업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2009년에는 유동성 위기에 직면했던 르노와 PSA푸조에 공장 문을 닫거나 직원들을 해고하지 않는 조건으로 30억달러를 지원, 일자리를 지켜냈다.

영국 역시 2011년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제조업 육성을 비전으로 설정하고 9개 대학에 제조업 혁신센터를 설립했다. 연구개발 투입자금에 대해서는 100% 조세 감면혜택을 주는 기업존을 21개 설치하기도 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