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자금 포착했나..검찰 CJ그룹 오너일가 정조준

머니투데이 원종태 기자 2013.05.21 19:41
글자크기

이재현 회장 집무실 전격 수색..박근혜정부 첫 대기업 수사

검찰은 21일 세금탈루 의혹과 관련해 CJ그룹 본사와 제일제당센터, 경영연구소을 포함, 5~6곳에서 압수수색을 벌였다(사진=뉴스1)<br>
검찰은 21일 세금탈루 의혹과 관련해 CJ그룹 본사와 제일제당센터, 경영연구소을 포함, 5~6곳에서 압수수색을 벌였다(사진=뉴스1)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가 21일 CJ (129,100원 ▼100 -0.08%)그룹에 대해 전격적으로 압수수색을 벌인 것은 이재현 회장과 이미경 부회장 등 오너 일가를 정조준한 것이라는 관측이 유력하다.

이날 압수수색이 서울 남대문로 CJ그룹 본사와 쌍림동 제일제당센터 외에 이 회장 집무실이 있는 CJ경영연구소에 대해 이뤄진 것이 단적인 예다. CJ경영연구소는 이 회장 자택이나 이 부회장 자택과 가까운 거리로 오너 경영의 핵심 역할을 했다는 평이다.



검찰이 공식 확인해주지 않았지만 이날 또 다른 압수수색 장소로 '이 회장 자택'설이 거론된 것도 수사가 오너 일가를 정조준하고 있다는 암시다.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처음 있는 대그룹 압수수색이라는 점도 상징성이 크기 때문에 수사가 오너 일가로 쏠릴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이는 다른 대기업에게도 긴장감을 갖게 하는 대목이다.

◇CJ 오너 일가 비자금 규모 얼마나 될까〓검찰 수사가 오너 일가를 조준하고 있다면 비자금이 수사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압수수색의 단초가 된 것은 2010년 금융정보분석원(FIU)이 파악한 '출처가 불분명한 자금 70억원'이다.



검찰은 지금까지 CJ 오너 일가가 수차례 상당한 비자금을 확보한 정황을 포착한 바 있다. 지난 2008년 이 회장의 차명재산을 관리했던 당시 자금 관리팀장 이모씨가 살인 청부 혐의로 재판받는 과정에서 이 회장은 차명재산에 대한 세금만 1700억원을 낸 것으로 드러난 바 있다. 상속세율(최고 50%)을 감안해도 차명재산이 수천억대라는 추정이다. 당시 이모 팀장이 사채업자에 매달 2∼3% 이자를 받기로 하고 빌려준 자금만 170억원이었다.

현재 서울지검 금융조세조사2부가 수사 중인 홍송원 서미갤러리 대표 조세포탈 의혹 사건도 CJ 오너 일가의 비자금과 연결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회장 등 오너일가가 구입한 그림 가액만 1422억원에 달하기 때문이다.

◇비자금 성격과 조성 방법도 '관심거리'〓비자금을 조성한 방법과 사용출처 등도 검찰이 지켜보는 대목이다. FIU는 CJ그룹이 해외에 설립한 서류상 회사인 '특수목적법인'을 통해 수상한 자금 흐름을 감지했다고 한다. CJ그룹은 지난 3월말 현재 해외에 149개 현지법인을 갖고 있는데 이중 다수는 서류상 회사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국제적인 조세피난처로 잘 알려진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에 건설업으로 등록한 '워터 파이프라인 웍스'(Water Pipeline Works Limited)라는 서류상 회사를 두고 있다. 또 다른 조세피난처 홍콩에는 CGI 홀딩스 등 3개 회사를 동일 주소에 두고 있어 서류상 회사일 가능성이 있다.

검찰은 비자금을 어떻게 증식했는지, 그 일부가 어떤 루트로 흘러들어갔는지, 그 과정에서 세금 탈루가 있었는지 등을 주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으로 수사 진행 방향은〓검찰은 이날 압수물들을 분석해 CJ그룹의 핵심 관계자를 선별, 소환 조사를 벌일 방침이다. 이에 따라 CJ그룹 주요 임원들의 줄소환은 불가피해 보인다. 비자금 및 탈세의 규모에 따라 이 회장 등 CJ 오너의 소환 조사로 확대될 지 여부도 관심사다. 지금까지 대그룹의 비자금 수사는 대부분 당사자인 오너 소환 조사로 이어졌다.

검찰 관계자는 "거액의 탈세 혐의 입증에 필요한 범위에서 압수수색을 했다"며 "압수물 분석결과를 토대로 관련자를 조사, 혐의유무와 책임자를 선별 조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