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금감원, '몸집 불어난 채권시장' 선제관리

머니투데이 김성호,심재현 기자 2013.03.18 05:25
글자크기

증권사 채권운용 급증하자 리스크 관리.."고객상품 우량채권만 담아라" 통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주식 대신 채권에 투자하는 이가 늘어나고, 증권사도 수익성 제고 차원에서 채권운용을 확대하자 감독당국이 리스크 관리에 나섰다.

금융투자업계의 채권운용 규모가 커지면서 자칫 시장 급변 때 금융권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조치로 풀이된다.



1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최근 증권사에 '채권 및 금리 리스크에 대한 효율적 한도관리 방안'을 통보했다.

금감원은 우선 최근 발행이 급증한 ELS(주가연계증권)나 RP(환매조건부채권) 등 고객계정 자산에는 우량한 채권만 포함하도록 했다. 증권사 고유계정 역시 투자적격등급 기준을 정해 엄격히 관리하라고 당부했다.



이와함께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의 채무불이행 사태로 부각된 ABS(자산유동화증권) 등 유동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채권에 대해서는 보유한도와 위험도에 대한 검증체계를 강화하고, 운용과정에서 손실한도를 넘어설 경우에 대비해 손절매 관리도 엄격히 하도록 지시했다.

아울러 채권의 보유한도 규제 외에 다양한 금리변동 리스크를 반영한 '스트레스 테스트'(자산건전성 심사)도 시행하도록 주문했다.

당국은 채권 금리 리스크와 관련해 보유 규모로는 실질적인 리스크 파악하기 어렵다고 판단, 보유한도 규제 외에 VaR(투자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최대손실금액) 및 PVBP(금리가 1bp 움직일 때 손익이 얼마나 변할 수 있는지를 정해놓는 기준) 등 리스크 기준 한도 관리를 병행토록 했다.


금감원이 이처럼 증권사의 채권운용에도 손을 대는 것은 채권투자 비중이 빠르게 높아지고 있어 예상치 못한 금리변동이나 대외충격에 취약해질 수 있다는 우려와 무관치 않다.

앞서 예금보험공사는 올 초 '금융투자회사 경영위험분석'을 통해 잠재적 위험을 경고했다. 국내증권사의 채권보유잔액은 지난해말 121조8000억원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말 60조원에 비해 2배 이상 늘어났다. 전체 자산에서 채권이 차지하는 비중 역시 46.9%로, 역대 최고 수준이다.

일각에선 증권사 재무건전성 지표인 NCR(영업용순자본비율)가 지난해 크게 떨어진 데는 채권운용 확대에 따른 금리위험액 증가가 영향을 미쳤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말 기준 자본총계 상위 15개 국내 증권사의 평균 NCR는 469.9%로 1년 만에 44.5%포인트 떨어졌다.

최근 우량채권 공급부족으로 투기등급 회사채 거래가 늘어날 조짐이 보이는 것도 금감원의 리스크 관리를 유도했다는 분석이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이번 조치는 지난 1월 증권사 채권관리 현황을 점검한 데 따른 후속 조치"라며 "채권관련 수지의 변동성이 확대될 우려가 있어 글로벌 유동성 유출입 및 금리변동에 대응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