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개발 정상화여부, '코레일-삼성물산'에 달렸다

머니투데이 전병윤 기자 2013.03.11 17:34
글자크기
 앞으로 용산역세권 개발사업의 정상화여부는 코레일(한국철도공사)과 삼성물산의 협상 결과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코레일이 자금난으로 상시적인 부도 위기를 반복하고 있는 용산역세권 개발사업을 정상화하기 위한 '해결사'로 삼성물산을 지목하면서다.

 코레일은 삼성물산에게 자본금 확충에 적극 참여하든지, 아니면 용산국제업무지구 랜드마크빌딩 시공권을 반납할 것을 압박하고 있다. 이와 관련, 당사자인 삼성물산은 돱코레일의 일방적 주장돲이라며 2가지 모두 수용할 수 없다고 맞서고 있다.
용산개발사업은 이달 말 다시 돌아올 부도 위기를 앞둔 가운데, 코레일과 삼성물산의 대립 구도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1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코레일은 삼성물산이 CB(전환사채) 2500억원 발행에 '드림허브(용산개발사업 시행사)' 지분율(6.4%) 이상을 투자하지 않으면 랜드마크빌딩 시공권을 반납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사업정상화를 위한 자본금 확충에 삼성물산이 민간출자회사를 대표해 나서달라는 게 코레일의 요구다.

 이는 지난달 26일 드림허브의 자본금을 1조원에서 5조원으로 확충하자는 사업협약서 변경안을 통해 처음 제시됐다. 당시 코레일은 토지매각 미수금 5조3000억원(이자 제외) 가운데 2조6000억원을 자본금으로 전환하는 대신 삼성물산이 갖고 있는 랜드마크빌딩 시공권(1조4000억원)을 자본금에 출자하라고 요구했다.



 이 과정에서 그동안 사업방식을 놓고 코레일과 대립각을 세웠던 2대주주 롯데관광개발은 완전히 물러섰다. 롯데관광개발은 용산개발사업의 자산관리위탁회사(AMC)인 용산역세권개발㈜의 지분 45.1%를 코레일에게 넘기는 동시에 모든 요구를 수용하기로 했다. 사실상 코레일에게 항복한 셈이다.

 이후 코레일의 '파트너'는 롯데관광개발에서 삼성물산으로 옮겨지고 있다. 코레일은 롯데관광개발의 자본력이 취약한 만큼 삼성물산이 사업을 끌고 가야 한다는 판단이다. 실제 코레일은 삼성물산이 자본금 1조4000억원을 출자하지 못하더라도, CB 2500억원 발행시 민간출자회사들의 몫인 1875억원 전액을 책임지고 사업을 추진할 것을 종용하고 있다.

 코레일 관계자는 "당초 용산개발을 주도했던 삼성물산이 사태 악화의 책임을 지려면 지금이라도 유동성 위기를 해결하는데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삼성물산이 이를 거부한다면 랜드마크빌딩 시공권을 회수해 다른 건설사에게 CB투자를 조건으로 시공권을 줘 사업 정상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결국 코레일은 시공권을 따낸 건설사가 CB를 같이 투자하는 이른바 시공권 연계 CB 발행을 재추진하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시공권 연계 CB발행은 지난해 민간출자사들이 추진했으나 코레일의 반대로 무산됐던 방식이다. 코레일로서는 입장을 번복해야 할 만큼 사정이 다급해졌다는 게 안팎의 분석이다.

 당사자로 지목된 삼성물산은 곤혹스러운 입장이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과거 용산역세권개발㈜ 지분 45.1%를 롯데관광개발에 넘겨주고 2선으로 물러난 상황에서 아무런 명분도 없이 다시 나설 이유가 없다"며 "시공권 반납 뿐 아니라 CB 투자 역시 삼성물산이 드림허브 보유 지분율에 해당하는 160억원보다 많이 투자하라는 것도 일방적인 요구"라고 반박했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코레일이 중요 건설 발주처라서 삼성물산에서 강하게 반발하기도 조심스러울 것"이라며 "이달 25일 전까지 추가로 자금을 마련하지 못하면 용산개발은 또 부도 위기에 몰리기 때문에 코레일과 민간출자회사들의 협의 과정에서 잡음이 끊이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