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게놈' 연구에 정부 8년간 5788억 투자

머니투데이 김명룡 기자 2012.11.27 12:00
글자크기

'포스트게놈시대 신산업육성을 위한 다부처 유전체 사업' 타당성 확보

정부가 유전체 분야 연구·개발(R&D)에 2014년부터 2021년까지 8년간 국고 5788억원을 투입키로 했다.

유전체 분야는 21세기 들어 가장 급격한 발전을 보이는 분야지만 우리나라는 타 분야에 비해 투자·기술 수준이 낮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정부의 이번 투자결정으로 유전체 분야 연구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포스트게놈 신산업육성을 위한 다부처 유전체 사업'(이하 '다부처 유전체 사업')을 기획하고 예비타당성조사를 수행한 결과, 추진 타당성을 인정받았다고 27일 밝혔다.

다부처 유전체 사업에는 보건복지부(장관 임채민), 농림수산식품부(장관 서규용), 국토해양부(장관 권도엽),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 지식경제부(장관 홍석우), 농촌진흥청(청장 박현출)가 참여한다.



이번 사업에는 8년간 국고 5788억원이 투자되는데 부처별로 보면 복지부 1577억원, 농식품부 1180억원, 국토부 608억원, 교과부 1513억원, 지경부 910억원이다.

국가재정법 제38조에 따라 총 사업비 300억원 이상 대규모 사업에 대해서는 예산을 편성하기 위해서는 기획재정부가 사업의 기술적·정책적·경제적 타당성을 조사해 투자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인 '예비타당성조사'를 실시해야 한다. 기재부는 예비타당성조사결과 이번 사업이 타당하다고 판단했다.

한편 포스트게놈은 지난 2003년 인간 유전체 전장을 해독하는 '인간게놈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가 완성된 이후 시대로 과학사의 새로운 시대를 지칭한다.


포스트게놈 시대의 핵심이 되는 유전체 기술은 대량의 유전 정보를 일시에 해독하는 장비(NGS)와 빅데이터(대량정보)를 다루는 IT기술로 이뤄진다.

이 2가지 기술이 발전해감에 따라 개인 유전체 해독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극적으로 감소되면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인간의 유전자를 분석하는데 드는 비용은 지난 1990년 30억달러에서 2013년 1000달러로 줄어들었으며 분석기간도 15년에서 1일로 감소했다.

특히 세계미래회의(World Future Society)는 2025년에 전 세계적으로 유전자 치료와 바이오의학 분야에서 수십조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기도 했다.

이에 따라 특허권·지적재산권 등 유전체 기술력 선점을 위한 각국의 경쟁이 치열하나, 우리나라는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BT(바이오테크놀로지) 전체 예산 대비 유전체 비중이 일본 5.8%, 미국 1.6%인데 반해 우리나라는 0.9%에 불과하다. 정부는 우리나라의 유전체 관련 기술수준이 미국보다 4.2년 정도 뒤쳐져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과의 줄기세포 기술격차가 2.5년이라는 것과 비교해 저조한 수준이다.

정부는 △개인별 맞춤의료를 실현하기 위한 새로운 차원의 신약 및 진단치료기술 개발 △ 동·식물, 식품기반 미생물, 해양생물 등 각종 생명체의 유전 정보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생명 자원 개발 △유전체 분석 기술 등 연구 기반 확보 및 조기산업화 촉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유전체 5대 분야에 걸쳐 17개 사업이 추진될 예정이며, 이 중 부처간 연계·협력이 요구되는 5개 사업은 공동 연구 사업(1035억원, 총사업비의 17.9%)으로 추진된다.

정부는 앞으로 유전체 연구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온 중복 투자를 피하고, 분석 장비 등 연구 인프라와 기반 기술을 공동으로 활용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연구 개발 성과를 서로 연계함으로써 R&D 사업의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