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억 이상 대형 공장 경매 물건 역대 최다

머니투데이 김정태 기자 2012.11.06 10:24
글자크기

조선ㆍ철강 관련 공장 다수..경매로 나와도 헐값에 팔려, 평균낙찰가율 낮아져

감정가 30억원 이상의 대형 공장이 경매시장 물건으로 대거 나오고 있다. EU재정위기와 내수 침체여파로 수출과 내수에 막히고 금융기관의 대출을 갚지 못한 조선ㆍ철강 관련 기업의 파산이 속출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30억 이상 대형 공장 경매 물건 역대 최다


6일 경매정보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감정가 30억 이상의 공장경매 물건수는 1203건에 달했다. 이는 2001년 조사가 된 이후 역대 최고치다.

2008년 금융위기 직후부터 해마다 200여건 이상 증가한 이후 올해 처음 1200건을 넘어섰다. 이렇게 경매로 나와도 저가에 팔려 평균낙찰가율은 2008년 이후 계속 감소해 올해는 70% 아래로 떨어졌다. 올해 30억 미만 공장 평균낙찰가율이 71.7%인데 비해 30억 이상의 대형 공장의 평균낙찰가율은 5% 이상 낮다.



올들어 공장경매시장의 두드러진 특징은 조선, 철강 관련 대형공장이 눈에 많이 띈다는 점이다. 전에는 소규모 영세공장이 주류를 이뤘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TKS조선소 전경↑TKS조선소 전경
광주지방법원에서 이달 7일에 경매되는 전남 영광군 홍농읍 칠곡리에 위치한 TKS조선소의 감정가는 684억6571만원이다. 칠곡농공단지내의 공장 부지 2만8173㎡와 공장 건물 165㎡뿐만 아니라 수십억 원에 달하는 선박 관련 기계기구가 포함돼 있다. 이 공장은 올해 경매시장에 등장한 공장물건 가운데 금액이 가장 큰 물건이다.

TKS조선소 경매는 채권자 S은행 등이 대출해준 150억원을 회수하기 위해 2010년 10월 법원에 경매 신청하면서 시작됐다. 여러 곳에서 중복으로 경매 신청돼 있어 총경매 청구액은 360억원이 넘는다. 지난해 3월 30일 첫 경매일 이후 수차례 유찰 돼 7일 최저가 224억3484만원에 경매를 앞두고 있다.
↑삼호조선 공장 전경↑삼호조선 공장 전경
삼호조선 거제 공장도 경매에 나왔다. 삼호조선은 조선 호황기인 2000년대에는 수주잔량 기준 세계 100대 조선소에 포함될 정도의 규모를 자랑했었지만 올초 법원이 ‘회생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해 파산됐다. 경남 거제시 사등면 사등리에 위치한 공장으로 감정가는 154억2471만원이다.



토지 31528㎡와 공장 면적 5418㎡, 기계 및 구축물 15점이 함께 경매 돼 지난 9월 20일 감정가의 105.8%인 163억2100만원에 낙찰됐다. 낙찰금액이 높아 보이지만 경매를 신청한 K은행이 받아야 하는 264억원에도 미치지 못하는 금액이다. K은행을 포함해 등기부상의 총 채권액이 무려 313억원에 달한다. 또 임금채권으로 보이는 121명이 신청한 가압류 금액이 19억원 이나 된다.
↑동호철강공업↑동호철강공업
경주 화산리 천북산업단지 내에 위치한 동호철강공업 공장도 경매로 나왔다. 감정가는 59억8650만원이며 토지 6295㎡와 공장 면적 3689㎡, 기계56점이 포함돼 있다. 2010년7월 D은행이 76억원을 회수하기 위해 경매 신청됐고 4번 유찰 후 지난 10월22일 감정가의 36.2%인 21억7000만원에 낙찰됐다.

하유정 지지옥션 연구원은 "철강, 조선 산업이 다른 산업에 비해 공장부지도 넓고 기계 등이 많아 감정가가 크지만 금융기관의 대출액이 과다한 경우가 많고 관련업체들간의 채무관계가 얽혀있다"면서 "헐값에 낙찰이 되면 금융권 부실과 업체들의 줄도산, 체불임금 같은 사회, 경제적 문제로 확산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