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기업 투자자들에게 세제혜택 줘야"

머니투데이 최석환, 기성훈 기자 2012.09.28 09:54
글자크기

[증세 없는 복지의 길, 사회투자]<3-2>정진호 미스크(MYSC) 대표 인터뷰

편집자주 세계 금융위기 이후 재정 한계에 부닥친 정부, 요동치며 불안한 자본시장에 한계를 느낀 대형투자자, 빈곤인구의 거대한 고통에 대한 해법을 찾는 자선가. 이들이 한 테이블에서 만나고 있다. '사회투자'라는 테이블이다. '사회투자'는 자본이 혁신을 일으키는 원리를 사회 문제 해소에 적용해 '증세 없는 복지', 투자가 되는 복지의 길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데이비드 캐머론 영국 총리 등도 앞다퉈 도입하고 있다. 따라서 복지국가를 공약으로 내걸고 있는 대통령선거 후보들에게도 재정 투입을 최소화하면서 복지 문제를 해결할 비법이 될 수도 있어 관심을 끌 것으로 보인다. 머니투데이는 6회에 거쳐 국내외에서 시작되고 있는 사회투자의 새로운 트렌드를 소개한다.

"사회적기업에 투자하는 투자자들에게 세제 혜택을 줘야 사회투자 시장을 키울 수 있습니다."
"사회적 기업 투자자들에게 세제혜택 줘야"


사회적기업 투자·컨설팅사인 미스크(MYSC)를 지난 2월 설립한 정진호 대표는 푸르덴셜투자증권 사장을 지낸 30여년 경력의 금융전문가다. 그는 "똑똑한 기부가 사회투자"라고 여기며 '주식형 펀드보다는 낮지만 은행금리보다 높은 수익'을 올리는 사회적기업 전문투자펀드를 만들고 있다.

그는 "벤처업계의 성공모델인 NHN과 같은 사회적기업이 나오려면 사회투자를 활성화할 수 있는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해외엔 큰 규모의 성공한 사회적기업이 존재한다. 미스크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은 프랑스의 그룹SOS도 연 매출 6140억여 원을 올리고 있는 사회적기업 그룹이다.



반면 국내 사회적기업은 대부분 '스타트업(Start-Up)' 수준으로 자본금이 그리 크지 않다. 고용노동부 인증을 받은 650여 개의 사회적기업들은 대부분 영세하며 그 중 80~90개가 자본잠식 상태다. 그는 국내 사회적기업들이 "비즈니스의 관점으로 보면 착하기만 했지 똑똑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사회적 기업에 대한 투자와 경영 컨설팅을 지원하는 사업이 절실한 이유다.

사회투자를 통해 '착하고 똑똑한 기업을 만들어내기' 위해선 정부의 법적·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그는 "투자금에 대해 기부금 공제나 소득공제 혜택을 주고, 투자 수익에 대해서도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 형태로 지원해주면 효과가 클 것"이라며 지난 1989년 벤처기업 육성을 위해 제정한 '특별법'과 같은 상위법을 제안했다.



사회적기업 투자 전문가나 전문 투자사도 필요하다. 벤처를 키우기 위해 벤처캐피털이 필요한 것과 같은 이치다. 그는 "정부가 창업투자회사(창투사)처럼 미스크 같은 기업을 '사회적기업 투자회사'로 인증하면 전문투자사가 클 수 있는 토양이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사회적기업에 투자한 돈을 회수하고 시장을 만들기 위한 '사회혁신 증권거래소'도 생겨나야 한다고 덧붙였다.

미스크는 사회에도 좋은 일을 하면서 재무적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사회적기업에 펀딩을 받아 투자할 계획이다. 그는 "기술력이 뛰어나고 사회혁신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지속적으로 수익을 내는 사회적기업에 투자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기부효과는 물론 원금 보장에 배당까지 가능한 펀드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미스크는 사회적기업가의 열정과 아이디어를 뒷받침하기 위해 창업 초기 단계부터 자금을 투자하고, 상장까지 가능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교도소 재소자의 아내나 여성 새터민을 고용할 수 있는 케이터링 사업 등 직접 운영하는 사회적기업도 설립을 준비하고 있다.


미스크엔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이 주주참여나 재능기부를 통해 '도우미'로 나섰다. 파트너 명단엔 대기업 회장들의 이름이 올라 있다. 삼정KPMG의 컨설턴트와 회계사 2800여 명은 6만 시간의 재능을, 마케팅 미디어 전문회사인 버슨 앤 마스터는 브랜드와 마케팅전략을 기부할 예정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