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조금 막차 놓쳤네"…'갤스 대란'이 남긴것

머니투데이 강미선 기자 2012.09.12 10:20
글자크기

10만원대 갤럭시S3 판매 종료…소비자 "폰 가격 못믿겠다", 정부규제도 '글쎄'

'갤럭시S3' 특가판매가 마감된 한 온라인 판매사이트.'갤럭시S3' 특가판매가 마감된 한 온라인 판매사이트.


"갤럭시S3 특판행사가 종료됐습니다"(한 온라인 휴대폰 판매사이트 문구)

'갤럭시S3' 대란 끝? 17만원까지 가격이 내려가면서 가입자가 폭주했던 '갤럭시S3'의 판매가격이 다시 제자리(?)를 찾았다.

'할부원금 17만원, 가입비 면제, 위약금 없음' 등 파격 조건을 내걸며 갤럭시S3를 판매했던 이동통신사 대리점들이나 온라인 판매점들이 대부분 할인행사를 종료한 것.



규제당국이 과잉보조금에 대해 경고하고 나선 데다 이미 비싼 가격에 구입한 소비자들과의 차별, 개통 지연 등에 대한 불만이 거세지면서 이통사의 지원금이 예전수준으로 돌아갔다.

'갤럭시S3' 판매 소동은 잠잠해졌지만 후유증도 만만치 않다. 하루만에 80만원이 오르고 내리는 휴대폰 가격을 지켜본 소비자들은 휴대폰 가격정책을 믿기 어려워졌다. 휴대폰 보조금 경쟁 과열을 잡겠다는 정부 규제도 약발이 먹히지 않는 형국이다.



12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지난 주말부터 SK텔레콤 (50,900원 ▼200 -0.39%), KT (36,400원 ▲50 +0.14%), LG유플러스 (9,740원 ▲30 +0.31%) 등 3사가 출고가가 99만원대인 '갤럭시S3 LTE'를 일부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할부원금 17만원에 판매했지만 11일부터 이같은 판매는 대부분 중단됐다.

현재는 오프라인 대리점에서 LTE72요금제 기준으로 가입할 경우 할부원금이 30만원 전후에서 형성되고 있다.

한 휴대폰 판매점 관계자는 "이통사의 보조금 지원 물량이 한시적으로 풀렸는데 판매가 다 돼 더이상 17만원 짜리 갤럭시S3를 찾아보기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춤추는 휴대폰 가격에 소비자들도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일찌감치 갤럭시S3를 비싼 가격에 구입했던 사람은 물론 이번 할인기회를 놓친 대기수요자도 속이 쓰리긴 마찬가지다.

회사원 최모씨는 "직장동료가 갤스3를 이번에 싸게 샀다는 얘기를 듣고, 휴대폰을 교체하려고 판매점에 들렸는데 그 가격이 아니었다"며 "그냥 사면 나만 바보되는 기분이 들어서 마음을 접었다"고 말했다.

다시 가격이 내려가지 않겠냐는 기대를 갖고 좀 더 기다려보겠다는 소비자들도 있다.

회사원 김모씨는 "휴대폰 가격이 워낙 고무줄이라 같은 제품이라도 매장마다 천차만별인데 조금 시일이 지나면 또 가격이 내려가지 않겠냐"며 "아직도 일부 온라인사이트는 17만원 보다 조금 비싼 수준에서 판매된다는 얘기도 있다"고 말했다.

정부와 이통사는 올 초 휴대폰 가격표시제, 페어프라이스 제도 등을 잇따라 도입하면서 어느 매장에서나 소비자들이 정가에, 차별 없이 살 수 있게 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휴대폰 가격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편과 불신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춤추는 휴대폰 가격을 지켜본 소비자들은 불신을 저버리기가 쉽지 않다.

방통위가 보조금 경쟁에 대해 경고하고 나섰지만 얼마나 실효성을 거둘지 장담하기도 어렵다.

방통위는 보조금 기준을 3번 위반하는 이통사에 최대 3개월간 신규 가입자 모집을 금지하는 제재를 할 수 있다. 이통 3사는 2010년, 2011년에도 보조금 과잉지급으로 과징금 처분을 받은 적이 있다. 한 번만 더 보조금으로 법을 위반하면 신규 가입자 유치 금지 처벌을 받을 수 있다.

방통위는 일단 이통3사에 서면경고를 내린 상태로, 현장 시장 조사를 검토 중이다.

하지만 이통사들은 이달 초 방통위로부터 '보조금 경쟁을 자제하라'는 경고를 받고도 보조금 확대에 열을 올려왔기 때문에 규제당국의 압박이 얼마나 실효를 거둘 지 지켜봐야 한다.

업계 관계자는 "연말 LTE 가입자 목표를 달성하기 어려운 일부 이통사가 언제든 보조금 경쟁에 나설 수 있다"며 "경쟁사가 먼저 보조금을 확대하면 다른 곳도 따라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