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판교, 상가시장 형성 언제되나..?? 6개월도 못버티는 사례 속출

머니위크 강동완 기자 2012.09.05 20:33
글자크기
약 3,000여 세대의 판교원마을을 배후에 두고 있는 판교도서관 상권은 현재 5개의 대로변 근린상가와 1개의 오피스텔상가가 준공되어 영업중이고 판교도서관이 있는북쪽 일대에 상가주택 단지도 형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상가가 임차인을 찾아 영업에 들어간 상태지만 속사정을 들여다 보면 얘기가 달라진다.



우선 1층 상가의 권리금이 형성되지 않고 있다.

통상 신도시의 경우 배후 아파트가 입주해 있다고 가정했을 때, 인근 지역의 입지 좋은 근린상가에는 1년 안팎의 시간이 경과하면 점포당 최소 2,000~3,000만원의 권리금이 붙는다. 송도 1공구(해양경찰청)상권의 경우 1억 가까운 권리금이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서판교 도서관 일대의 대로변 근린상가와 오피스텔 상가는 권리금이 형성되지 않고 있어 매출 부진으로 임차인이 가게를 내놓는 경우 본인이 투자한 인테리어,간판 등 시설비조차 건지지 못하고 나와야 하는 실정이다.

평균 영업기간도 매우 짧은 편이다. 6개월을 버티지 못하고 철수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메인 사거리에서 판교도서관으로 올라가는 이면 지역에 입점중인 유명 커피 프랜차이즈 매장인 C브랜드가 영업 6개월만에 매물로 나와 있고 옆건물에 위치한 PC방은 2달만에 문을 닫았다.


노출가시성이 좋은 대로변 점포2곳도 계약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1년 미만의 영업 후 임차인이 바뀌었다.

당장 영업을 접고 싶어도 투자한 금액 일부라도 회수하기 위해 권리금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 임차인을 찾다 보니 적자를 감수하고 매장을 유지하는 점포도 상당수라는게 업계측 의견이다.

에프알인베스트먼트 조사에 따르면 2012년 8월 기준으로 서판교 중심상권의 1층상가(40제곱미터 기준)의 평균 임대료 수준은 270~400만원 수준이다.

분양 당시 이 점포들의 분양가가 7억~8억 (3.3제곱미터당 4,000~5,000만원)에 달했음을 감안해 역산해본 결과 투자자들이 가져가는 평균 연수익률은 5%를 밑도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안민석 에프알인베스트먼트 연구원은 "신도시에 형성되는 상권의 경우는 형성기부터 성숙기까지 2~3년의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서판교의 경우 배후 세대수에 비해 과도하게 많은 상가 공급이 이루어졌고 분양가마저 높았기 때문에 자칫하면 이런 악순환이 쉽게 해소되지 못하면서 장기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또 창업전문가들은 "신도시의 상권형성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가 많다."라며 "주변 아파트 입주와 이들에 대한 동선등을 잘 파악한후에 상권에 맞는 아이템을 찾는것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