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KTX 시·종착역놓고 '철도공단vs서울시' 갈등

머니투데이 김정태 민동훈 기자 2012.09.05 15:04
글자크기

철도공단, 서울시 삼성역 변경요구에 반발… 2015년 개통 불투명

수도권 KTX(고속철도)의 시·종착역 변경을 둘러싸고 건설사업주체인 한국철도시설공단과 역사부지 심의권을 갖고 있는 서울시가 갈등을 빚고 있어 당초 목표했던 개통시기가 불투명해졌다.

[참고:"2년내 완공해야 하는데" 수서역 첫삽도 못떴다
]
한국철도시설공단은 5일 서울시가 수도권 KTX 시·종착역을 당초 수서역에서 삼성역으로 변경을 요구하면서 당초 목표인 2015년 개통이 어렵게 됐다고 밝혔다.



김광재 공단 이사장은 이날 과천에서 기자들과 만나 "서울시가 삼성역 연장 건설에 반대 입장을 취해 오다가 이제 와서 수서역 건설계획을 폐지하고 삼성역 연장을 다시 주장하는 저의를 모르겠다"며 "이 때문에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로 묶여 있는 수서역 건설부지를 풀어주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가 이날까지 그린벨트로 묶여 있는 수서역 건설부지를 풀어주기로 한 마지막 시한이었으나, 도시계획위원회에 안건조차 상정되지 않았다는 게 김 이사장의 주장이다.



김 이사장은 역사공간, 기술적 측면, 사업비 추가 부담 등의 문제로 삼성역 변경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그는 "삼성역을 시·종착역으로 하기 위해선 3호선과 분당선보다 더 깊게 내려가 굴착해야 하는데 최소 50m는 돼야 하기 때문에 공사상 여러 문제가 있다"면서 "수도권 KTX건설사업의 60%이상을 투입하는 철도공단으로선 사업비 추가부담과 역사를 지을 공간 확보도 어렵다"고 말했다.

김 이사장은 서울시가 그린벨트인 수서역 부지를 풀어주지 않을 경우 2015년 개통목표를 지키기 위해 수도권 KTX 시·종착역을 성남으로 변경할 수 있다는 입장도 피력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는 삼성역을 수도권 KTX 시·종착역으로 변경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입장이다. 한제현 서울시 도시계획과장은 "시 도시계획상 삼성역은 인근 잠실, 코엑스와 연계되고 한전부지 등이 개발되면 강남의 새로운 중심지가 된다"며 "수도권대심도철도(GTX)도 삼성역을 거치기 때문에 시·종착역을 변경하는 것이 좋겠다는 게 도시계획위원회 본심의의 의견"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주박(열차가 계류하는 곳)기지는 수서역에 두고 차량만 삼성역까지 연장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삼성역 인근의 별도 부지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최근 이제원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구본환 국토부 철도정책관을 만나 KTX 시·종착역에 대한 검토가 충분히 있어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시는 또 철도시설공단이 주장하는 그린벨트 해제 시한은 없다고 반박했다. 유길준 서울시 공원녹지정책과장은 "도시계획위원회가 수서역 건설 부지에 대한 그린벨트 해제 결정권한을 갖고 있는 게 아니라 (그린벨트 내) 어떤 시설이 들어설지를 심의하는 회의"라며 "앞서 네 차례에 걸쳐 도시계획위원회 본회의에 상정됐는데, 도로확장 등 몇 가지 문제가 있어 보류됐고 한번 더 소위원회를 거치면 본회의 심의 없이 보고만으로 결정된다"고 말했다.

이후에는 국토부가 중앙도시계획위원회 등을 거쳐 최종 확정해야 하기 때문에 수도권 KTX사업에 크게 영향을 미칠 사안이 아니라는 게 서울시의 주장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