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 추진돼도 3년 더 걸려…개포주공 아직 '미지근'

머니투데이 최윤아 기자 2012.05.17 15:06
글자크기
↑서울 강남구 개포주공 단지내 전경. ⓒ장시복 기자↑서울 강남구 개포주공 단지내 전경. ⓒ장시복 기자


"문의전화요? 별로 없어요. 재건축 정비구역 통과가 호재인건 분명하지만 아직 갈 길이 멀어서요."(개포동 A중개업소)

"5·10대책보다는 파급력이 있을 것으로 보죠. 저가 매수를 노렸던 수요자한테 매력적인 이슈이니까요."(개포동 B중개업소)

개포주공2·3단지 재건축 정비구역 계획안이 지난 16일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에서 통과된 데 따른 인근 부동산 중개업소들의 반응이다. 현지 부동산 중개업계는 이번 정비구역 계획안 통과에 따라 개포지구의 재건축 사업 추진 불확실성이 해소되긴 했지만, 침체된 시장 분위기를 반전시킬 정도의 파급력은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개포동 B중개업소 관계자는 "정비구역 계획안이 통과된 지 얼마 안돼서 그런지 아직까지 문의전화가 오거나 매수세가 붙는 등의 반응은 없다"며 "저가 매수를 저울질하던 수요자를 끌어드릴 만한 이슈이긴 하지만 언제, 얼마의 부담금으로 재건축될지는 아직 알 수 없기 때문에 당장 매수세를 견인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개포2·3단지는 앞으로 '조합설립인가→사업추진인가→관리처분계획→착공·분양' 등의 일정을 남겨두고 있다. 부동산업계는 이들 과정을 통과하는데 최소 3년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전용면적 85㎡ 규모의 아파트를 얻기 위해 10억원 안팎의 자금(매입가와 추가부담금을 합산한 대략적인 금액)을 최소 3년간 묶어둬야 한다는 의미다.



개포2단지 인근 C공인 관계자는 "인근 도곡렉슬 등과의 시세를 비교할 때 개포아파트 현 시세가 아직 높다는 판단이 지배적"이라며 "이번 통과는 첫 발을 뗀 것에 불과한 만큼, 가격이 좀 더 내려가지 않으면 거래가 살아나긴 어려울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다만 개포1단지와 달리 2·3단지는 가구수가 적고 주민간 갈등도 크지 않다는 점에서 돌발변수는 크지 않다는 게 이 지역 일대 중개업계의 예측이다. 1단지의 경우 조합장이 바뀌는 과정에서 주민간 갈등이 있었지만 2,3단지는 덜하다는 것이다.

서울시의 조건부 가결로 소형(전용 60㎡이하) 33가구를 더 확보해야 하는 개포3단지도 주민들 사이에서 재건축을 빨리 진행하는 게 낫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어 소형가구 확보에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란 예상이다.


전문가들은 일단 개포2·3단지 정비구역 계획안 통과로 모호했던 서울시 재건축정책이 한층 명확해졌다는 평가다. 서울시 승인 과정에서 신축가구수의 '30%이상'을 소형으로 지으면 통과된다는 일종의 가이드라인이 생겨서다.

함영진 부동산써브 실장은 "재건축 추진 주체 입장에선 그동안 서울시가 정확히 어느 정도의 소형을 요구하는지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애를 먹었지만, 이번 통과로 정책 불확실성이 일정부분 해소됐다"며 "개포2·3단지를 롤모델로 삼아 반포주공과 같은 저밀도 재건축 예정단지도 사업을 추진하기 수월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이번 통과가 재건축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선 제한적일 것이란 의견이다. 함 실장은 "아직 주택시장 회복 여부가 불투명한 상태에서 적지않은 투자금을 재건축에 묻어둘 투자자는 많지 않을 것"이라며 "시장 분위기를 반전시키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