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림산업 '후폭풍' 우려…2차 피해 불가피

머니투데이 전병윤 기자 2012.05.02 18:14
글자크기
풍림산업의 법정관리로 인한 2차 피해 확산이 불가피하다. 우선 풍림산업으로부터 공사 대금을 받지 못한 협력업체들의 직접적인 피해를 입게 됐다. 풍림산업에 따르면 협력업체에게 줘야 할 채무는 기업어음(CP)과 외상매출채권담보대출 등을 합쳐 총 2880억원 수준이다.

◇협력업체 및 주식·채권 등 2차 피해 확산
채권 회수 여부는 전적으로 법원의 판단에 달렸다. 앞으로 법원은 실사를 거쳐 3~8개월 후 풍림산업의 가치를 매겨 파산시킬지 회생할지를 결정한다.



이 과정에서 전체 채무 가운데 회생채권과 비회생채권을 분류하는데 협력업체들도 미수금을 회수할 수 있거나 떼이게 된다. 관계자들은 풍림산업의 재무여력이 충분치 않아 회수 가능성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주식이나 채권 투자자들의 피해도 불가피하다. 코스피시장에 상장된 풍림산업은 CP 1차 부도설이 돈 지난달 30일 가격제한폭까지 떨어졌다. 한국거래소는 곧바로 거래를 정지시켰다.



법정관리 신청으로 상장폐지로 이어지면 주식은 휴지조각이 된다. 풍림산업 회사채 투자자들도 마찬가지다. 풍림산업의 무보증 회사채를 산 투자자들은 2009년 워크아웃 결정 이후 만기 상환을 수차례 연장하고 금리 인하도 감내했다.

미상환 잔액은 200억원 규모로 올해 1분기부터 2013년 6월까지 분할상환하기로 했었다. 주로 지역단위 새마을금고나 신용협동조합이 투자자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은 법정관리에 들어간 순간 풍림산업의 모든 채무가 동결되기 때문에 이후 상황을 기다려보는 수밖에 없는 처지다.

풍림산업으로부터 아파트나 주상복합을 분양 받은 경우는 상황에 따라 피해 정도가 갈린다. 착공을 시작하지 않았거나 공정률 80% 미만인 경우는 대한주택보증으로부터 분양대금환급을 신청하면 받을 수 있어 별 문제가 없다.


지난달 삼성물산과 공동 분양한 인천 '부평 래미안·아이원'과 평택 '청북지구 풍림아이원'이 이에 해당된다.

공정률 80%를 넘은 부산 남천동 '남천 엑슬루타워'의 경우는 대체 시공사를 찾아야 한다. 주택 경기 침체여서 대체 시공사를 찾는데 시간이 걸릴 수 있어 분양자들은 입주 시점 지연에 따른 기회손실뿐 아니라 브랜드의 신뢰도 하락에 따른 손해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은행 차가운 시선에 건설사 후폭풍 우려
풍림산업의 법정관리 신청은 우림건설이나 신동아건설 등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다른 건설업체에게도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 풍림산업이 법정관리를 신청하게 된 근본적인 원인은 채권은행으로부터 버림 받았기 때문이다.

인천 청라지구 주상복합인 '풍림 엑슬루타워'와 충남 당진 아파트 '풍림아이원'의 경우 PF(프로젝트파이낸싱)로 자금을 투입한 KB국민은행 등에서 추가 지원을 거부한 게 법정관리의 발단이 됐다.

풍림산업은 해당 사업장의 공사비 807억원을 받기 위해 KB국민은행으로부터 대금 지급을 요청했으나 거부당했다. KB국민은행은 계좌가 시행사와 공동명의로 돼 있는 만큼 합의를 거치지 않고 시공사인 풍림산업에게 돈을 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시행업체는 미분양을 해소하기 위해 할인 분양을 했기 때문에 공사비가 부풀려졌다는 이유로 대금 지급에 도장을 찍지 않았다. 이로 인해 풍림산업은 지난달 30일 만기가 돌아온 기업어음(CP) 423억원을 상환할 자금을 마련하는 데 실패, 법정관리에 들어간 것이다.

표면적으로는 시행사의 비협조 때문으로 보이지만 PF 대출 은행이 추가 지원보다 채권 회수를 하는 편이 낫다고 본 점이 시행사와의 협상 실패에 중요 원인으로 작용했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이로써 풍림산업은 같은 해인 2009년 워크아웃을 시작했다가 지난해 법정관리를 신청한 월드건설의 전철을 밟게 됐다.

우림건설 역시 채권은행단으로부터 추가 지원을 받지 못하면 독자적 회생이 어려운 상황에 몰렸다. 우림건설은 통화옵션상품 손실까지 겹쳐 지난해 1067억원에 달하는 자본잠식에 빠진 상태다.

채권은행이 채무를 주식으로 전환하는 출자전환을 해야 하지만 KB국민은행을 비롯한 일부 은행들이 난색을 표시하고 있어 우림건설의 앞날 역시 장담하긴 어렵다.

워크아웃 건설사 관계자는 "채권은행들 사이 입장차이가 달라 조율이 어려워 워크아웃 일정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자금난을 더욱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며 "이번 일을 보면 건설사를 보는 은행들의 시선이 더욱 차가워졌음을 증명하는 사례로 후폭풍이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