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중동 주택시장 진출 지원에 업계 "시큰둥"

머니투데이 민동훈 기자 2012.03.02 04:18
글자크기

이명박 대통령 "건설사 적극 지원"…업계 "中저가공세·현지 텃세 등 우려"

 이명박 대통령이 최근 중동 순방 이후 국토해양부를 중심으로 현지 주택시장 진출 지원에 적극 나서겠다는 의지를 밝힌 데 대해 건설업계의 속내가 복잡하다. 표면적으론 중동지역의 공종다변화 차원에서 정부의 이 같은 지원방침이 반갑긴 하지만 현지 주택시장 진출이 만만치 않다는 현실적 문제 때문이다.

 2일 정부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토부는 빠르면 이달 중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와 50만가구 주택건설 프로젝트 가운데 1만가구를 짓는 시범사업 관련 MOU(양해각서)를 체결할 예정이다.



 이번 MOU에는 1만가구 시범사업 참여와 함께 50만가구 추가 수주, 국내건설사의 사우디아라비아 내 '건설등급' 취득 지원방안 등이 담길 예정이다. 국토부는 이번 시범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면 50만가구 건설사업을 선점함과 동시에 추가 수주전망도 매우 밝을 것으로 기대한다.

정부 중동 주택시장 진출 지원에 업계 "시큰둥"


◇중동 주택시장 진출길은 열렸지만 "수익성 담보는…"
하지만 정작 건설업체들은 이 같은 국토부의 장밋빛 전망에 시큰둥한 반응이다. 최근 중동 진출에 적극 나선 중국업체의 저가공세와 현지업체의 텃세가 부담스러운 데다 이를 이겨내고 수주하더라도 수익성을 담보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중동지역 주택수요가 국내건설사들이 강점을 보이는 고층아파트보다 2~3층 규모의 저층주택에 쏠렸다는 점도 수익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부분으로 꼽힌다. 초고층이 아닌 일반주택의 경우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한 것도 아니어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어렵고 원가율을 맞추기 쉽지 않다는 게 중동 진출 업체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중동에 국내 건설인력을 대거 진출시켜 일자리 창출에 나서겠다는 정부의 방침에 대해서도 회의적인 시각이 적지 않다. 최근 수주 공사의 경우 과거엔 단순시공을 했기 때문에 국내 기능공들이 대거 중동에 진출할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엔 건설사들이 설계와 자재조달, 시공을 한꺼번에 담당하면서 PM(프로젝트 관리)에 집중, 관리인력 소수만 파견하고 다른 인력은 현지에서 조달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고 건설업계는 주장한다.


 플랜트 인력난으로 건설사들의 인건비도 상승하고 있어 해외현장에 국내인력을 대거 파견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라는 게 건설업계의 속내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최근 플랜트 공사의 경우 현장당 파견하는 국내직원 규모가 40명을 넘지 않는다"며 "가뜩이나 플랜트 인력난으로 몸값이 급등하면서 파견직원 규모를 늘리기도 어렵다"고 지적했다.

◇국토부 지원대책 '재탕삼탕'…현실성 있나?
이와 관련, 국토부는 지난 2월24일 이 대통령 주재로 열린 '중동지역 전문인력 진출 방안' 전략회의에서 △해외건설 근로자 세제혜택 확대 △해외건설업체 병역특례 확대 △해외건설인력 4800명 양성 등 인력난 해소책을 내놨다.

 해외건설 근로자 세제혜택 확대의 경우 최근 법 개정을 통해 기존 월 15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상향했지만 여전히 미국이나 일본, 유럽 등의 사례와 비교할 때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때문에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당분간 중동 진출 근로자들이 실질적으로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한시적인 근로소득공제 지원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일단 국토부는 지역별 차등과 한시적 비과세 등의 대책을 추가로 마련하겠다는 방침이지만 재정부는 세입감소, 타 업종과 형평성 등을 이유로 난색을 표하고 있어 현실화되기까지는 진통이 예상된다.

 병역특례 확대 역시 2008년부터 국토부가 추진을 검토해온 사안이지만 지난해 전국에서 건설업체에 취직해 병역특례를 받은 사례는 2건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국토부 관계자는 "최근 병무청과 협의에서 병역특례 규모를 대폭 늘리기로 합의를 봤다"며 "해외진출 건설사와 인력에 대한 지원방안을 다양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