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잡아라' 세제·병역 등 총력 지원

머니투데이 김정태 기자, 진상현 기자, 신희은 기자 2012.02.24 16:09
글자크기

(종합)세제·병역 혜택 확대 추진..건설 외 전문인력도 진출 확대

정부가 '제2의 중동 붐'을 일으키기 위해 총력 지원에 나선다. 중동에 나갈 수 있는 근로자들을 적극 육성하고 이들에게는 세제 혜택, 병역특례 확대 방안 등의 인센티브를 부여키로 했다. 고유가로 전 세계의 돈이 중동으로 몰리면서 중동 지역을 새로운 성장의 발판으로 삼는 동시에 청년실업 해소에도 적극 활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24일 해외건설협회에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이같은 '중동지역 전문인력 진출 방안'을 논의했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중동에 진출한 근로자들이 실질적으로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한시적인 근로소득공제 지원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정부는 이미 해외진출 건설근로자들에게 200만원 한도에서 해외수당을 비과세하고 있다. 기획재정부 세제실 고위 관계자는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던 만큼 추가적인 지원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국토해양부는 젊은 층의 해외건설현장 근무를 유도하기 위해 병역특례 확대 방안을 관계 부처와 협의해 마련키로 했다. 또 대졸자를 대상으로 하는 단기 실무교육 양성규모를 올해 3500명으로 지난해보다 1000명을 늘리고 대학 마지막 1학기를 해외건설 실무교육으로 대체해 학점을 인정하고 졸업과 동시에 해외건설업체에 취업할 수 있도록 유도키로 했다.



건설업계의 전문경력자 인력난 해소를 위해 재직자에 대한 전문교육도 확대한다. '맞춤형 6개월 전문가과정'을 현재 2개 대학원에서 5개로 확대하고, 5개 교육기관별로 전문과정(발전, 석유화학, 계약·리스크관리 등)을 특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특히 중동 붐이 과거와 달리 건설업만이 아닌 전(全) 분야에서 이뤄지고 있는 만큼 전문인력 진출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고용노동부는 그동안 건설, 항공 승무원 등에 집중됐던 취업알선을 앞으로 엔지니어링 플랜트 원전 에너지 등 '자원개발' 분야, 치과기공사 물리치료사 헬스케어 등 '의료'분야, 기업가치 평가전문가 경영컨설턴트 펀드매니저 등 '경영·금융' 분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중동지역의 전문인력 수요를 발굴하기 위해 현지 진출 우리 기업만이 아니라 현지 기업 및 글로벌 기업의 수요를 개척하고 직종별 DB(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각 직종에 대한 구인정보 및 근로조건 등을 상세히 제공할 계획이다.

해외인턴십 프로그램의 대상국을 선진국 위주에서 중동지역 및 개발도상국가 등으로 다변화하고, 하반기 해외인턴 선발시 중동지역을 우선 선발키로 했다.

고용부는 단기적인 전문인력 수요에는 자치단체와 대학 간 협력모델인 'GE4U'와 해외취업연수 등으로 대응하고, 장기적으로는 중동에 청년 인재 파견, 관련 학과 육성 등을 통해 지역전문가를 양성하는 방향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또 민·관 협력 지원체계도 정비한다. 중동기업 진출기업 민관 협의체, 유관부처 협의체 등을 구성해 필요한 인력을 매칭하고 애로사항을 함께 논의하는 방식이다. 특히 국내와 중동 현지 네트워크를 아우르는 일자리 통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해 유관기관마다 분산돼 있는 구인·구직 정보를 일원화하기로 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