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해외건설현장 나가면 병역특례 적용 검토"

머니투데이 김정태 기자 2012.02.24 11:00
글자크기

원전시공인력 120명 등 올 해외건설인력 4800명 양성

정부가 올해 해외건설인력으로 4800명을 양성한다. 또 젊은 층의 해외건설현장 근무를 유도하기 위해 병역특례 확대 등 다양한 인센티브 부여방안도 적극 검토 중이다.

권도엽 국토해양부장관은 24일 오전 8시 해외건설협회에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대책회의를 통해 이같이 보고했다.



국토부는 제 2중동 붐에 따른 해외건설 인력난 해소방안을 위해 우선 청년층의 해외취업 활성화 방안을 마련했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하는 단기 실무교육 양성규모를 올해 3500명으로 지난해 2500명보다 1000명을 늘리기로 했다. 이 과정에는 지방대생 400명 교육과정과 향후 원전 수주 확대에 대비한 원전 시공인력 120명 양성도 포함됐다.

또 '실무학기제'를 도입한다. 대학 마지막 1학기를 해외건설 실무교육으로 대체해 학점으로 인정해 졸업과 동시에 해외건설업체에 취업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안이다. 이를 위해 국토부는 대학과 실무교육 학점인정 협약을 체결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중소기업에 채용되는 인력(200명)에 대해서 1년간 OJT(해외훈련)를 실시하고 이를 위해 1인당 1140만원씩 지원키로 했다.

기업이 특히 애로를 겪고 있는 전문경력자 인력난 해소를 위해 재직자에 대한 전문교육도 확대키로 했다. '맞춤형 6개월 전문가과정'을 현재 2개 대학원에서 5개로 확대하고, 5개 교육기관별로 전문과정(발전, 석유화학, 계약·리스크관리 등)을 특화하기로 했다.

핵심 엔지니어 양성을 위해, 올해부터 포스텍 엔지니어링 대학원을 개원했으며 플랜트 엔지니어링 대학원 1개를 추가 육성하는 방안도 검토키로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젊은 층의 해외건설현장 근무를 유도하기 위해 병역특례 확대 등 다양한 인센티브 부여방안도 관계부처와 협의해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