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가 7일 삼성경제연구소·LG경제연구원·한국개발연구원(KDI)·한국경제연구원·현대경제연구원 등 5개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문의한 결과 5곳 모두 이번 달 기준금리 동결을 점쳤다.
지난달과 달라진 것이 있다면 물가다.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3.4%)이 3%대로 내려오면서 인상에 대한 압력을 덜기는 했다. 그러나 서울시 대중교통요금 인상 등이 물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미국과 이란 간 대립으로 국제 유가 움직임을 낙관할 수 없어 안심하기는 이르다는 지적이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도 "금리를 움직일 동인이 보이지 않는다"며 "가장 안전한 선택이 동결"이라고 지적했다.
한은과 기획재정부 역시 이날 임시국회 현안보고, 2월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을 통해 물가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않고 있음을 보여줬다.
이 시각 인기 뉴스
한은은 먼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를 보인 데 대해 "지난해 1월 소비자물가가 구제역, 국제유가 급등 등의 영향으로 크게 오른 데 따른 기저효과"라고 설명했다. 또 앞으로 물가가 큰 폭 상승하지는 않을 것이나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중동지역 지정학적 리스크 등이 불안 요인으로 남아있다고 경계를 나타냈다.
재정부도 지난달 없었던 '기대인플레이션율'이란 표현을 다시 명시하며 물가 상승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치가 높아지는 일을 우려하고 있음을 암시했다.
이에 따라 4~5월까지는 '동결' 행진이 그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금리 인하가 가능한 경우는 물가가 3% 아래로 낮아지거나 고용 부진, 경기둔화 등이 크게 나타나는 때일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조만간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물가상승세가 한풀 꺾인 반면 지난해 말부터 경기가 둔화되고 있어 인하할 만한 여건이 조성됐다는 것이다.
지난해 4분기 수출과 내수 동반 부진으로 국내총생산(GDP)이 2년래 최저치인 0.4%(전기비) 성장에 그친 가운데 곳곳에서 실물 경기 지표의 둔화가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12월 광공업생산이 전월보다 0.9% 감소했고 소매판매가 0.2% 줄어든 점, 이달 무역수지가 2년 만에 적자(-19억6000만 달러)로 전환한 점 등이 단적인 예다.
기저효과 때문이기는 하지만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를 유지하게 된다면,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 인하를 할 때가 됐다는 것이다. 신석하 KDI 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달까지는 동결한 뒤 다음 달쯤 인하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가계부채나 국제유가, 공공요금 인상 등의 변수가 남아있는 만큼 이달은 동결하고, 다음 달쯤 물가가 3%대에서 안정된 것을 확인한 다음 인하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