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관리처분 예정 사업장 74곳···전세난 불안 우려

머니투데이 최윤아 기자 2012.01.26 11:25
글자크기
관리처분계획을 앞둔 서울시내 정비사업장이 모두 74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에 따르면 멸실과 이주수요를 유발해 전세가격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관리처분계획인가를 앞둔 서울시내 사업장은 모두 74곳, 415만9170㎡에 이른다.

서울 관리처분 예정 사업장 74곳···전세난 불안 우려


특히 서대문구의 경우 지난2009년부터 2011년 사이 사업시행인가를 집중적으로 받아 앞으로 관리처분을 앞둔 정비사업 면적이 71만3414㎡로,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가장 많다.



송파구 역시 이주수요로 인한 전세난 재발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꼽힌다. 송파구에서는 재건축 단지인 가락시영 아파트 부지가 405만782㎡에 달해 관리처분계획인가를 받을 경우 6600가구가 한 번에 움직일 것으로 예측된다.

동대문구(35만38㎡) 양천구(32만7927㎡) 성동구(32만7639㎡) 성북구(31만6545㎡) 등도 각각 4~6개 정비사업이 한꺼번에 추진돼 지역구별 사업시행인가 정비사업 면적이 30만㎡를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강북구(9만1463㎡) 중구(6만7272㎡) 광진구(5만8228㎡) 중랑구(4만9065㎡) 동작구(4만4223㎡) 구로구(4만3303㎡) 도봉구(3만1239㎡) 등은 정비사업에 따른 이주수요 유발 잠재요인이 서울시내 타 지역구보다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함영진 부동산써브 실장은 "지난2008년 금융위기이후 일부 재개발·재건축 사업은 투자수요가 급감해 사업 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이지만 이미 사업시행인가를 받고 관리처분계획을 준비 중인 정비사업장만도 74곳에 달하는 만큼 이들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멸실과 이주 수요가 임차시장에 미치는 파괴력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