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곽드러내는 박원순式 '재건축 방정식'

머니투데이 민동훈 기자 2011.12.16 17:24
글자크기
- 임대주택·커뮤니티 조성 등 공공성 강화
- 조망권·녹지축·통경축 확보 등 환경 개선
- 주변 환경과 어울리는 단지 조성 계획


↑박원순 서울시장 ⓒ임성균 기자↑박원순 서울시장 ⓒ임성균 기자


 앞으로 재건축을 추진하려는 서울시내 아파트 등 관련 사업장의 경우 임대주택·커뮤니티 조성 등 공공성 강화와 함께 조망권, 녹지축, 통경축 확보 등 주거환경 개선계획을 반드시 세워야 한다. 주변환경과 어울리는 단지조성계획을 짜는 것도 사업 승인 여부를 결정할 핵심요소가 될 전망이다.



 서울시는 앞으로 재개발·재건축 등의 정비구역을 지정할 때 주요 산, 공원과 가깝거나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인접지는 조망권, 녹지축, 통경축을 확보토록 할 방침이라고 16일 밝혔다.

실제 이같은 기준에 따라 지난 15일 열린 제21차 도시계획위원회(이하 도계위)에서 서초구 방배동 경남아파트의 종(種) 상향 안건을 보류했고 인근 삼익아파트는 최고 층수를 29층에서 26층으로 낮춰 통과시켰다.



◇윤곽 드러난 박원순식 재건축정책
도계위는 이날 회의에서 경남아파트에 대해선 매봉재산 근린공원에 접해 있고 주변지역에 위압감을 줄 수 있다며 종 상향이 부적절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삼익아파트의 경우 층수를 지나치게 높이면 주변 단독주택지에 위압감을 줄 수 있어 최고층수 하향 결정을 내렸다.

 이는 앞서 시가 강남구 개포동 개포주공2~4단지와 개포시영 재건축정비구역 지정을 보류하면서 소셜믹스와 디자인 다양성, 기부채납공원 배치 등의 문제점을 지적한 데서 한발 더 나아간 결정이란 평가다. 개포지구의 경우 도계위 소위원회에서 이같은 서울시의 지적에 따라 현재 정비계획안을 수정하고 있다.

윤곽드러내는 박원순式 '재건축 방정식'
 반면 임대주택과 공공커뮤니티시설 기부채납 등을 충실히 이행한 송파구 가락시영아파트의 경우 2종 일반주거지역에서 3종 일반주거지역으로의 종 상향을 허용했다.


이같은 결정에 따라 가락시영은 기존 6600가구를 8093가구로 재건축하고 이 과정에서 임대주택 959가구를 추가로 확보, 총 1179가구를 공급한다. 시는 이와 함께 2만777㎡ 규모의 공원과 통경축 등을 확보하고 노인층과 맞벌이 부부 등을 위한 미래형 문화복지 커뮤니티시설 등을 조합으로부터 기부채납받기로 했다.

 이와 관련, 김효수 서울시 주택본부장은 "확대된 용적률의 절반을 임대주택으로 공급할 수 있게 돼 공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며 "서울은 가뜩이나 주택이 부족한 마당에 허용되는 범위에서 용적률을 올려주고 개발이익을 나누는 건 좋은 제도"라고 설명했다.

◇"서울시 재건축정책에 박원순 색을 덧입히는 과정"
시는 앞으로도 가락시영아파트처럼 공공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주거환경을 감안한 정비계획안에 대해선 긍정적으로 검토할 방침이다. 다만 재건축단지별로 처한 상황과 주변 여건이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종 상향이나 재건축 행위를 승인하지는 않겠다는 입장이다.

 박원순 시장도 최근 한 라디오에 출연, "일정한 녹지나 주변환경, 주민편의시설을 확보하는 공공성 확보는 도시의 미래를 위해 꼭 필요하다"면서 "(가락시영의 경우) 지역적 특수성을 반영한 것이고 이견이 있다면 토론을 해볼 생각"이라며 이같은 원칙을 재확인했다.

이에 대해 시 고위관계자는 "박 시장이 시의 재건축정책에 자신만의 색깔을 덧입히는 과정"이라며 "앞으로 서울이 어떤 방식으로 발전해야 하는지를 박 시장은 물론 공무원과 시민들이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도 박 시장의 의지나 철학이 관련 정책에 반영돼가는 과정이란 평가를 내렸다. 조명래 단국대 교수는 "소셜믹스와 공공성 확보, 주민을 위한 주거환경 개선 등이 최근 서울시의 재건축 승인 주요 조건이 되고 있다"면서도 "아직까지는 박 시장의 원칙보다 기존 관료적 결정이 앞서 있어 아쉽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