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구매 남성소비 해외여행 '中 신소비' 잡아라

머니투데이 베이징=홍찬선 특파원 2011.10.30 14:37
글자크기

[차이나 워치]농촌소비, 착한제품, 황금보석 소비 등 6대 신경향

중국에선 최근 공동구매가 크게 늘어나고 남성소비와 착한제품 소비가 증가하는 등 새로운 소비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또 소득 증가에 따라 국내외 여행이 증가하고 있으며 농촌지역 소비와 황금 및 보석 소비도 늘어나고 있다.

30일 코트라(KOTRA) 상하이무역관에 따르면 중국의 공동구매(퇀꺼우, 團購) 사이트는 지난 7월말 현재 5500개이며 연말까지 1만개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 공동구매 이용자는 지난 6월말 기준으로 4220만명으로 전년동기보다 125%나 증가했다. 공동구매자가 전체 네티즌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8.7%로 작년(4.1%)보다 2배 이상 높아졌다.



공동구매가 급증하는 것은 식당할인쿠폰 영화티켓 디지털 가전제품, 휴대폰 컴퓨터 가구 헬스이용권 건축재료 등을 여러 사람과 함께 사면 가격을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공동구매가 인기를 끌면서 중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공동구매 사이트인 워워퇀(窩窩團)은 지난 5월 미국의 골드만삭스로부터 2억달러의 투자를 유치했다.



기업의 사회적책임(CSR)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착한 기업’이 생산한 제품을 구매하려는 ‘착한 소비’도 확산되고 있다. 한 공익단체의 조사에 따르면 86%의 소비자가 공익활동하는 기업을 더 신뢰하며 공익활동을 하는 회사의 직원 90%가 자부심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홍칭팅 아오캉 터뿌 차오단 리닝 같은 신발업체와 즈란탕 팅메이 포라이야 마르미 같은 화장품 기업들이 공익 콘셉트로 소비자에게 접근하고 있다. 중국의 대표적 유(乳)제품 회사인 멍니우(蒙牛)는 베이징 올림픽 유치활동을 위해 2001년에 1000만위안(17억원)을 기탁하고 2003년에는 사스(SAR) 퇴치를 위한 기부활동을 벌였으며, 2006년부터는 500여개 빈곤학교 학생들에게 우유를 1년 동안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멍니우는 이런 활동 덕분으로 2000~2003년의 매출액 증가율이 연간 100~200%에 달했고 2004년 이후에도 30~80%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남성과 농촌의 소비가 증가하는 것도 새로운 경향이다. 루이비통은 중국 매출액이 전세계 매출의 15%이며 이중 남성 소비가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남성용 기초화장품 시장은 지난해 40억위안(6800억원)이나 되며 전년보다 40%나 증가했다. 샴푸 향수 색조화장품 등을 포함할 경우 남성용 화장품 시장은 80억위안(1조3600억원)이나 된다. 꾸미기에 대한 남성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時尙先生 男人裝 GQ智族 같은 남성잡지가 등장했다.


칭하이 깐수 샨시 네이멍 지린 신장 등 중국의 농촌 가계 소득증가율이 20%를 넘고 가전제품과 자동차 등의 농촌소비지원책이 나오면서 PC 액정TV 디지털카메라 MP4 컴퓨터 등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허베이성 리시엔에 있는 청신상샤 쥐바오룽 등의 매장에서는 지난 국경절 연휴(10월1~7일) 기간 중 매출액 증가율이 21.2%를 넘었다.

여행도 급증하고 있다. 중국 관광업무보고에 따르면 중국인 해외여행객은 5739만명으로 전년보다 20.4% 늘었다. 중국인터넷정보센터(CNNI)의 ‘2011 중국 네티즌 여행조사보고’에 따르면 올 상반기에 조사대상 네티즌 중 34.3%인 1억6600만명이 해외관광을 했으며, 온라인관광 사이트를 통해 여행상품을 구임한 네티즌도 3686만명에 달했다.

하이난따오(海南島)의 산야관광호텔은 10월, 11월 예약률이 80%를 넘었다. 샹터우인타이호텔은 10월 호텔입주율이 98%였으며 11월중순 이전 예약률도 이미 90%를 넘었다. 온라인 여행시장이 급성장하면서 투니우왕(途牛網) 뤼마마 같은 온라인여행 사이트가 생겨나고 있다. 2006년에 설립된 투니우왕은 지난해 영업수익이 4억위안에 달했으며 올해는 10억위안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의 주식 및 부동산 시장이 장기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물가상승 압력이 높아지면서 황금과 보석 등을 찾는 중국인이 크게 늘어났다. 상하이 상무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국경절 연휴기간 중에 상하이시 금은보석 매출 증가율은 52.6%로 도소매 및 요식업 매출액 증가율 17.5%보다 3배나 높았다. 닝샤회족자치구와 신장위구르족자치구 등의 백화점에서 금은 매출액 증가율도 102%와 69.4%나 됐다.
TOP